•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정보공개

    사전정보공표

    정보공개사전정보공표민원 주요 Q&A상세보기

    민원 주요 Q&A

    카셰어링 이용 시, 본인확인 및 외관 점검 절차 강화 필요해요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카셰어링 이용 시, 본인확인 및 외관 점검 절차 강화 필요해요
    등록일 2023-09-07 조회수 6576
    카셰어링 이용 시, 본인확인 및 외관 점검 절차 강화 필요해요
    모바일 앱을 통해 차량을 대여할 수 있는 카셰어링 서비스는 접근성과 편리성이 높아 인기를 얻고 있으나, 수리비 과다 등의 소비자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요.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주요 카셰어링 플랫폼 그린카, 쏘카, 투루카 (3곳)의 서비스 이용 및 안전관리 실태 등을 조사했어요.
    카셰어링 회원 가입 이후, 이용계약 체결 시 추가 인증 절차가 없었어요 ※ 카셰어링 서비스 비대면으로 차량 대여 : 명의도용, 무면허 운전 등의 피해 예방을 위해 계약 시 엄격한 본인확인 절차 필요 [조사 결과] 조사대상 3개 플랫폼 모두 회원가입 시 본인인증 절차(운전면허증, 이용자 본인 명의 결제카드 정보 등록)를 거치며, 이후 차량 대여 시 별도의 본인확인 절차는 없었어요 Q. 이에 대한 소비자 의견은? (* 최근 1년간 카셰어링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1,000명) 설문 결과) - 응답자의 86.3% (863명):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차량대여 시 본인확인 절차 강화될 필요 있어요” - 응답자의 83.2% (832명):  “카셰어링 서비스 이용 시마다 본인인증 등 추가 절차에 동의할 의사 있어요”
    카셰어링 차량 반납 전·후 외관 점검 절차 강화 필요해요 ※ 카셰어링 서비스 차량 반납도 비대면으로 차량 운행 전·후의 외관 등을 점검한 사진은 향후 분쟁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조사 결과] - 2개 플랫폼 (그린카, 쏘카): 차량 운행 전 외관 점검 사진을 앱에 등록하는 절차가 있으나, 운행 후에는 절차가 없었어요 - 1개 플랫폼(투루카): 차량 운행 후 점검 절차는 있으나, 등록 가능한 사진 수가 최대 8장으로 제한적이었어요 (그린카 24장, 쏘카 30장) :: 조사대상 사업자에게 차량 반납 전·후에 대한 외관 점검 절차 강화를 권고했고, 사업자는 우리원 권고를 수용해 개선 계획임을 회신함
    카셰어링 차량 3대 중 1대꼴로 안전관리 미흡했어요 조사대상 카셰어링 차량 66대의 실제 안전관리 상태를 조사한 결과, 24대(36.4%)의 관리상태가 미흡했어요 [안전관리 미흡 상태 예시] 타이어공기압 불균형, 사용한 응급수리 키트 방치 (미교체), 엔진경고등 점등, 번호판등 미점등 ※ 자세한 조사 결과는 소비자24 또는 보도자료 원문을 통해 확인 :: 조사대상 사업자에게 안전관리 미흡 차량에 대한 정보 및 개선 필요사항을 통보했으며, 사업자는 관련 조치를 완료했음을 회신함
    카셰어링 차량 작동법 설명 정보제공 개선이 필요해요 [조사대상 3개 플랫폼 모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작동 방법과 차량에 장착된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에 대한 정보를 제공 *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차량이 인지하고 기계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소비자 설문 결과] 기본 주행장치 작동법에 대해 응답자의 497명(49.7%),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에 대해 응답자의 664명(66.4%), “설명을 제공받지 못했거나 안내 여부를 모르겠어요” > 운전자 설명서에 대한 접근성 및 가독성을 제고할 필요있어요
    소비자 주의사항 - 대여 차량에 대한 조작법과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의 사용법 등을 미리 숙지하세요 - 차량 대여 및 반납 시 차량 외관을 꼼꼼히 점검하고 사진을 남겨두어 분쟁 시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대비하세요 - 대여 차량의 전조등, 방향 지시등, 와이퍼, 블랙박스 등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세요 - 차량 이용 중 충돌, 파손 등의 사실이 있었다면 즉시 업체에 알려 미신고에 따른 불이익을 방지하세요
    자세한 정보는 상품정보부터 피해구제까지 소비 생활의 모든 단계를 지원하는 소비자24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www.consumer.go.kr
    다음글 건강식품 관련 소비자피해 전년 동기대비 48.7% 증가했어요
    이전글 소비기한이 표시되지 않은 오오츠카 생수 판매차단 안내
    게시물담당자 :
    온라인거래조사팀이아영(043)880-5695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평가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