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사이버홍보실

    소비자원동향

    사이버홍보실소비자원동향상세보기

    소비자원동향

    한국소비자원,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 수준 측정 연구」 발간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한국소비자원,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 수준 측정 연구」 발간
    등록일 2024-06-20 조회수 4913
    첨부파일


    한국소비자원,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 수준 측정 연구」 발간

    - 한국의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 경험률 40%, OECD 평균보다 10%p 낮아 -

    - 종합 온라인쇼핑 플랫폼, 해외직구 순으로 피해경험률 높아 -

       지난해 국민 10명 중 7명이 디지털 기반 소비생활을 한 가운데, 2023년 온라인쇼핑 규모는 228조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그러나 이와 함께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 ’23년 소비생활지표 조사 결과 72.3%가 디지털로 소비(한국소비자원, ’23), 온라인쇼핑 규모는 228조로 ’21년 대비 22.3% 증가(통계청, ’23)

       ** ’23년 전자상거래 관련 피해구제 접수(15,142건)는 ’21년(5,754건)에 비해 55.2% 증가(한국소비자원 피해구제연보, ’24)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은 최신 OECD 자료*를 토대로 국민이 체감하는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 수준과 금전적 피해 규모를 전국 단위로 측정했다. 특히, OECD 조사항목 외에, 거래 유형별 피해 경험률 및 해결방안 도출을 위한 소비자교육 참여 효과 등을 추가로 조사했다.



       * OECD(2022) ‘Measuring financial consumer detriment in e-commerce’

     

    조사 개요 ]

     

     

     

    구 분

    OECD 조사 (‘21년 조사 ’22년 발표)

    한국소비자원 조사 (‘23년 조사 ’24년 발표)

    표본크기

    · 13개국 전자상거래 소비자 성인 27,124명 (*한국: 1,978)

    · 전국 전자상거래 소비자 성인 3,000

    표본오차

    · 국가별 임의할당 추출 / 95% 신뢰수준 ±0.9%p (*한국: ±3.1%p)

    · 성별·연령별·지역별 인구비례 층화추출 / 95% 신뢰수준 ±1.8%p

    조사구성

    · (현황/인식이용률소비자태도소비여건 신뢰 등

    · (피해 경험대상별 피해 경험률금전적 피해규모대응행동

    · (현황/인식이용률소비자태도소비여건 신뢰

    · (피해 경험대상별·거래 유형별 피해 경험률금전적 피해규모대응행동

    · (해결 방안교육참여 효과정책체감도


       조사 결과, 한국의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 경험률은 40%로 2021년 조사된 OECD 13개국 평균 50%보다 10%p 낮고, 독일(40%)과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4명 중 3명인 75.8%가 종합 온라인쇼핑 플랫폼에서 구매한 가운데, 소비 채널별 피해 경험률은 종합 온라인쇼핑 플랫폼이 64.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해외직구가 48.9%였다. 생애주기별로는 고령층의 피해 경험률(33%)이 OECD 평균(26%) 보다 높아(7%p) 역량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비자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 전자상거래 소비자행동 역량이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고, 소비자 체감도가 높은 정책은 온라인약관 선택동의 개선(36%)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분석 결과를 유관 부처에 제공해 정부의 「제6차 소비자정책 기본계획」 추진 및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소비여건 개선 정책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한국소비자원에서 추가 조사한 신규 측정 항목과 조사방법론을 OECD 소비자정책위원회(CCP)의 차기 글로벌 전자상거래 피해연구 추진에 반영하는 등 글로벌 디지털 소비환경 개선에도 일조했다.



       해당 자료는 한국소비자원 누리집(www.kc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글 한국소비자원, 7.1.부 승진 및 전보 인사
    이전글 한국소비자원 부원장에 ‘이정구’ 피해구제국장 임명
    게시물담당자 :
    소비자시장연구팀김승화(043)880-5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