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장품 부작용으로 피해를 봤다고 호소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이 올해 소비자가 화장품 부작용을 호소한 178건을 분석한 결과, 인터넷으로 구입한 제품 사용 후 피부트러블이 발생했다는 경우가 39.9%(71건)에 달했고, 주로 피부발진이나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부작용 발생 후 피부변색이나 흉터 등 후유증이 남고(43.8%, 78건), 치료기간이 2주 이상 걸린 경우도 26.4%(47건)에 달했으나, 원인규명의 어려움 등으로 41%(73건)은 아무런 보상을 받지 못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한국소비자원(원장 박명희, www.kca.go.kr)은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접수된 화장품 관련 위해 사례 400여건 중 전화설문이 가능한 178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히고,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인터넷 판매 화장품 및 샘플 화장품에 대한 표시사항 준수를 검토하도록 건의할 예정이다. 소비자들에게는 ▶화장품 사용 후 피부트러블이 발생되었을 때는 즉시 제품 사용을 중단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것을 당부했다. |
|
<주요 위해 사례>
o 2008년 9월, 서울에 거주하는 오모씨(여, 20대)는 화장품을 구입해 사용 한지 2일 만에 이마, 턱, 볼 주변에 여드름 같은 것이 올라오더니 4일 후 심해짐. 병원에서 화장품 관련 문제라고 해 구입처에 문의하니 사용을 중단하고 며칠 후 다시 사용하라고 함. 피부과에서는 1-2개월 정도 치료를 요한다고 함.
o 2008년 9월 전모씨(여, 40대)는 6월 TV홈쇼핑에서 주름제거용 화장품을 구입해 7월에 사용한 후 얼굴에 가려움증이 발생되어 약국에 가 문의한 바, 화장품 독이라며 바르는 연고를 줌. 화장품 사용 중지 후 가려움증이 사라짐. |
□ 화장품 부작용 호소하는 상담사례 해마다 지속적으로 접수돼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되는 화장품 관련 상담은 2006년 5,287건, 2007년 5,619건, 2008년 10월 현재 3,107건으로 해마다 지속적으로 접수되고 있다. 이 중 부작용 관련 상담은 2006년 531건, 2007년 516건, 2998년 10월 현재 351건으로 화장품 관련 상담의 10% 전후의 비율로 나타났다.
|
|
2006 |
2007 |
2008(10.31.현재) |
|
화장품관련 상담 |
5,287 |
5,619 |
3,107 |
|
부작용 관련 상담 |
531 |
516 |
351 |
|
부작용 관련 상담 비율 |
10.0% |
9.2% |
11.3% |
□ 인터넷 구입 제품에서 부작용 호소 가장 많아
2008년 1월에서 8월까지 한국소비자원 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화장품 부작용 관련 피해사례 400여건 중 소비자와 접촉 및 확인이 가능한 178건을 전화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 화장품 부작용의 원인으로 의심되는 제품을 인터넷으로 구매한 경우가 71건(39.9%)으로 가장 많았으며, 일반 매장에서 구입한 경우는 62건(34.8%)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가 부작용의 원인으로 의심한 제품은 기초화장용 제품류가 78건(43.8%)으로 가장 많았으며, 화장품 세트류가 71건(39.9%), 메이크업용 제품류가 8건(4.5%)의 순서로 나타났다.
|
구입방법 |
인터넷구매 |
일반매장 |
방문판매 |
마사지샵 |
약국 |
|
건
(%) |
71
(39.9) |
62
(34.8) |
30
(16.9) |
14
(7.9) |
1
(0.5) |
□ 피부발진, 가려움증, 통증 등 발생, 43.9%는 후유증 남아
화장품 부작용을 호소한 178건에 대해 주요 증상을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피부발진이 100건(33.7%)으로 가장 많았고, 가려움증 58건(19.5%), 통증 26건(8.8%), 접촉성 피부염 23건(7.7%) 등으로 나타났다.
|
부작용
종류 |
피부발진 |
가려움증 |
통증 |
접촉성피부염 |
붉어짐 |
기존피부질환악화 |
부어오름 |
화상 |
피부탈변색 |
물집 |
기타 |
|
건
(%) |
100
(33.7) |
58
(19.5) |
26
(8.8) |
23
(7.7) |
20
(6.7) |
18
(6.1) |
14
(4.7) |
7
(2.4) |
6
(2.0) |
3
(1.0) |
22
(7.4) |
이러한 증상을 겪은 소비자의 43.8%(78건)는 부작용 증상 후 피부변색 및흉터 등 후유증이 남은 것으로 조사됐다.
화장품 부작용이 의심되는 증상의 발생 시기는 발생 시기는 사용한 뒤 일주일 이후에 발생한 경우가 40건(22.5%), 사용 후 즉시 발생한 경우가 36건(20.2%)였다.
|
부작용
발현시기 |
즉시 |
3시간이내 |
12시간이내 |
24시간이내 |
2-3일 이내 |
일주일이내 |
일주일이후 |
|
건
(%) |
36
(20.2) |
27
(15.2) |
14
(7.9) |
20
(11.2) |
27
(15.2) |
14
(7.9) |
40
(22.5) |
□ 화장품 부작용을 의심하는 경우는 많지만 보상받기는 어렵고, 치료기간은 길어
화장품 부작용을 겪었다고 밝힌 소비자의 41%(73건)는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구입가 환급을 받은 경우는 27.5%(49건), 치료비 배상을 받은 경우가 21.3%(38건), 제품 교환을 받은 경우가 8.5%(15건)로 나타났다.
|
보상여부 |
보상받지 못함 |
교환 |
환급 |
치료비 지급 |
기타 |
|
건
(%) |
73
(41.0%) |
15
(8.5%) |
49
(27.5%) |
38
(21.3%) |
3
(1.7%) |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의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에 치료비, 경비 및 일실소득을 배상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화장품과의 인과관계가 있어야 하며, 피부과 전문의의 진단 및 처방에 의한 질환치료의 목적의 경우에 치료비를 배상받을 수 있다. 화장품 부작용을 호소했으나 아무런 보상을 받지 못한 73건 중 55건(75.3%)은 진단서(소견서)를 발급받지 않은 경우로 나타났다.
치료에 소요된 기간은 1주일 이상~2주일 미만이 33.1%(59건), 2주일 이상이 26.4%(47건)이나 되었다. 4일~1주일 미만이 17.4%(31건), 2~3일이 13.5%(24건), 1일이 17건(9.6%)이었다.
부작용 증상 발생 후 병원 치료 후 회복하였다는 응답이 49.4%(88건)이며 사용 중단 시 자연 회복한 경우가 41%(73건)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회복되지 않았다는 응답도 11건(6.2%)에 달했고, 현재까지 치료중이라는 응답도 6건(3.4%)으로 나타났다.
□ 화장품 사용 후 피부 트러블 발생 시 제품 사용을 중단하고 전문가 도움을 받아야
한국소비자원은 화장품 부작용으로 의심되는 피부 트러블이 발생되었을 때 소비자가 화장품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하지 못하고 계속 사용하여 증상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피부발진 등 화장품 부작용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해당 제품 사용을 중지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또한, 차후 보상요구를 위해서는 제품과의 인과관계 입증이 관건이므로 트러블 발생 당시에 의사의 진단서 및 소견서, 패취 테스트 결과 등 객관적인 입증 자료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
화장품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소비자 주의사항
△ 사용상의 주의사항을 잘 읽고 표시된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한다.
△ 화장품의 용기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쓰지 않을 때는 잘 닫아둔다.
△ 화장하기 전 손을 깨끗이 씻는다.
△ 다른 사람과 화장품을 함께 쓰지 않는다.
△ 화장품에 침이나 물 등을 섞지 않는다.
△ 제품의 색상이나 냄새가 변했을 때는 사용하지 않고 버린다.
△ 화장품은 29℃ 이상에서 보관하지 않는다.
△ 발진이나 기타 피부에 이상 증상이 발생되었을 때는 사용을 중단한다.
△ 사용을 중단한 후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피부과 전문의 등에게 도움을 요청해 적절한 치료를 받고, 보상을 위해서는 진단서 및 패취테스트 결과 등 객관적인 입증자료를 확보한다.
|
|
보충취재 |
소비자안전본부 식의약안전팀 팀장 이해각 (☎3460-3411) |
|
소비자안전본부 식의약안전팀 과장 박지민 (☎3460-34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