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 실내공기정화필터 여과성능, 전제품 제작사 자체기준에도 못미처 (2003.10.3) - 자동차용 실내공기정화필터 품질시험 결과 -
산업화 및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대기오염이 해를 거듭할수록 심각해지고 있으며, 서울의 경우 각종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되는 미세먼지가 2001년말 기준으로 ㎥당 71㎍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가운데 자동차 제작사들은 자동차 승차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자동차 외부유입 및 내부순환공기를 여과하는 자동차 실내공기정화필터를 대부분의 승용 및 RV차량에 채택하고 있으나 이들 제품의 품질에 대한 객관적인 상품정보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소비자보호원(원장 崔圭鶴)에서는 시판중인 5개 자동차제작사의 주요차종에 장착되는 실내공기정화필터 18개 제품에 대한 품질시험을 실시하였다.
□ 시험대상 전제품 여과성능 부적합, 50%는 난연성 기준에 부적합
필터의 기본성능을 종합한 여과성능 시험의 경우, 시험대상 18개 전 제품이 자동차 제작사 자체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과성능 중 필터를 얼마나 오래 사용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포집량 시험의 경우, 시험대상 제품의 89%가 기준에 부적합하였다.
차량 내부화재 발생을 대비하여 불에 잘 타지 않는 성질을 알아보는 난연성 시험은 시험대상 제품의 50%가 기준에 부적합하였다.
이에 따라, 관계기관의 적절한 지도와 해당업체의 품질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여과성능시험(초기압력손실, 입자크기별 초기집진효율, 포집량)은 국내필터 제조업체가 준용하고 있는 국제규격인 ISO/TS 11155-1을 적용하여 시험함.
※ 난연성 시험은 미연방자동차안전기준인 FMVSS 302(Fede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를 적용하여 시험하였음.
□ 항균기능은 인체의 안전과는 무관, 소비자 오인 우려
미생물에 대한 내구성 시험을 한 결과, 모든 제품이 별도의 항균제 처리를 하지 않은 상태였고, 이중 4개 제품은 소재자체가 곰팡이에 쉽게 열화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소재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항균기능을 강조한 각종 제품이 출시되는 최근의 경향과 같이 이번 시험대상 제품 중에도 항균기능이 있다고 표시한 제품은 8개 제품에 이르렀다.
그러나 항균기능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기대와는 달리 아직까지 국내외적으로 항균에 대한 통일된 개념정의는 없을 뿐만 아니라, 현재 항균성을 평가하는데 사용하는 시험방법도 대부분 미생물에 대한 소재자체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에 대한 안전성과는 크게 관련이 없는 것이다. 이런 상황을 감안할 때 제조업체는 소비자의 오해를 야기할 수 있는 무분별한 항균표시를 자제하여야 할 것이다.
※ 곰팡이 성장시험은 국제규격인 ISO 846규격을 적용하여 시험하였음.
□ A/S 지정품, 제품에 대한 기본적인 표시상태 미흡
자동차용 실내공기정화필터는 주기적으로 점검·정비해야하는 소모품으로 대부분의 차종은 소비자가 직접 점검 또는 교환할 수 있다.
실내공기정화필터의 구입 교환시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적용차종, 필터장착방향, 교환주기, 업체 연락처 등)의 표시상태를 알아 본 결과, 모두 표시한 업체는 18개 제품 중 1개 제품뿐이었으며, 대부분의 A/S지정품은 적용차종조차 표시하고 있지 않아 기본적인 표시사항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현행 공기정화필터 품질기준의 상향조정 필요
자동차용 실내공기정화필터는 자동차 실내 냉·난방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냉·난방 및 공기여과의 2가지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기정화필터 장착을 고려한 공조장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 공조장치의 설계변경 없이 공기정화필터를 장착하는 일부 차종의 경우 냉·난방 성능의 저하를 막기 위해 먼지를 잘 거르지 못하는 필터를 장착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필터장착을 고려한 공조장치 설계와 더불어 현행 공기정화필터 품질기준의 상향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보호원은 전 업체가 동일한 시험방법(ISO/TS 11155-1)을 준용하고 있으면서도, 업체별로 나아가 동일업체내의 차종별로도 그 품질기준이 차이가 있어, 필터 사용목적을 감안할 때, 관련 품질기준의 통일(표준)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 자동차용 실내공기정화필터란?
자동차용 실내공기정화필터는 엔진 에어크리너와는 달리 차량 실내에 장착되어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는 먼지, 꽃가루 등을 걸러 주는 역할을 하며 일명 에어컨필터, 캐빈필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 교환주기 차종에 따라 권장교환주기는 10,000∼15,000㎞로 다르며, 자동차 취급설명서나 제품에 표시되어 있다. 대기오염이 심한 경우나 비포장도로 등을 장시간 운행하는 경우는 교환주기가 짧아질 수 있으며, 자동차 실내 송풍구를 통해 나오는 바람의 세기가 약하게 느껴질 경우에는 필터를 점검 또는 교환하여야 한다.
◇ 필터 미교환시 문제점 필터를 장기간 교환하지 않아 필터에 이물질이 쌓여 막히게 되면 1. 토출풍량이 급격이 감소하여 여름철에는 에어컨의 냉방성능 불량을 초래하며, 겨울철에는 히터의 난방성능 불량은 물론 오토에어컨인 경우 센서감지불량으로 에어컨이 오작동 될 수 있음. 2. 블로어 모터 작동시 소음이 증가됨. |
<별첨1>
<종합평가표>
구분 |
적용차종 |
상표명 |
성능 |
제품
표시
사항3 |
교환
주기4
(km) |
구입가격5
(원) |
여과성능1 |
난연성 |
곰팡이성장2 |
방법A |
방법B |
기아자동차 |
카니발ⅠⅡ |
-* |
부적합 |
적합 |
× |
○ |
② |
15,000 |
16,500 |
평화크린항균필터 |
부적합 |
부적합 |
× |
○ |
①②③④ⓜ |
4,500 |
카렌스Ⅱ |
-* |
부적합 |
적합 |
× |
○ |
②③ |
12,000 |
19,800 |
- |
부적합 |
부적합 |
○ |
○ |
① |
4,000 |
스펙트라
크레도스 |
항균정전필터* |
부적합 |
부적합 |
× |
○ |
①②③ⓜ |
12,000 |
16,500 |
자동차용항균정전필터 |
부적합 |
부적합 |
○ |
○ |
①②③ⓜ |
8,000 |
르노삼성
자동차 |
SM5※ |
-* |
부적합 |
부적합 |
× |
○ |
② |
12,000 |
16,000 |
자동차용항균정전필터 |
부적합 |
부적합 |
○ |
○ |
①②ⓜ |
10,000 |
쌍용자동차 |
코란도
무쏘 |
-* |
부적합 |
적합 |
× |
○ |
- |
10,000 |
17,160 |
자동차용 에어컨필터 |
부적합 |
부적합 |
× |
○ |
①③ |
8,000 |
렉스턴 |
-* |
부적합 |
부적합 |
× |
○ |
- |
10,000 |
18,700 |
자동차용항균정전필터 |
부적합 |
적합 |
× |
○ |
①③④ⓜ |
12,000 |
지엠대우
자동차 |
레조 |
-* |
부적합 |
적합 |
× |
○ |
- |
10,000 |
18,700 |
자동차 항균정전필터 |
부적합 |
적합 |
× |
○ |
①④ⓜ |
12,000 |
현대자동차 |
EF
-쏘나타
등6 |
-* |
부적합 |
적합 |
× |
○ |
② |
15,000 |
17,050 |
대화참숯 항균필터 |
부적합 |
적합 |
× |
○ |
①②③ⓜ |
12,000 |
아반떼XD |
-* |
부적합 |
부적합 |
× |
○ |
②③ |
15,000 |
15,400 |
자동차 항균정전필터 |
부적합 |
적합 |
○ |
○ |
①②④ⓜ |
6,000 |
비고 |
1. 초기압력손실, 초기집진효율, 포집량 3항목을 종합한 결과임.
2. ISO 846 방법(4주간 배양시험 결과)
○ : 곰팡이가 성장함, × : 곰팡이가 성장하지 않음
방법A : 필터 소재의 곰팡이 균 성장요소 함유 여부 방법B : 항균물질 처리 여부
* A/S 지정품 |
3. 표시사항 ① 적용차종 ② 장착방향 ③ 교환주기 ④ 업체연락처 ⓜ 항균기능 표시제품 - : 표시된 사항 없음
4. 자동차제작사 취급설명서 권장 교환주기
5. 구입장소 및 방법에 따라 가격차이가 있을 수 있음
6. 그랜저XG,트라제XG, 산타페, 소렌토, 옵티마 공용
※ 바이패스 홀(By-Pass hole)이 있어 일부 여과되지않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구조임.
|
보충취재 |
시험검사소 기계시험팀 팀장 정용수(☎3460-3071) |
과장 이재환(☎3460-3075) |
[첨부] 자동차용 실내공기정화필터 품질시험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