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소비자정책연구

    소비자정책지표

    소비자정책연구소비자정책지표지표소개소비자시장평가지표

    소비자시장평가지표

    소비자정책지표

    한국소비자원은 3대 소비자정책지표인 '소비생활지표', '소비자시장평가지표', '소비자역량지수'를 정책데이터로 생산하여 증거기반 정책수립(EBPM:Evidence Based Policy Making)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시장평가지표

    • 제품 및 서비스 시장에서 소비자가 체감하는 시장의 소비자지향적 수준을 평가하는 소비자정책지표

    차수별 소개

    2013 한국의 소비자시장평가지표 : 시범조사
    • 조사시장: 10개 시장(재화 5개, 서비스 5개)
    • 지표구성: 공통평가항목(비교용이성, 소비자문제 및 불만, 만족도, 신뢰성), 전환성, 안전성
    • 조사표본: 개별 시장별 550명
    • 표본추출: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추출법
    2014 한국의 소비자시장평가지표
    • 조사시장: 35개 시장(재화 16개, 서비스 19개)
    • 지표구성: 공통평가항목(비교용이성, 소비자문제 및 불만, 만족도, 신뢰성, 선택가능성, 가격), 전환성, 안전성
    • 조사표본: 개별 시장별 500명
    • 표본추출: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다단계층화추출법
    2015 한국의 소비자시장평가지표
    • 조사시장: 50개 시장(재화 21개, 서비스 29개)
    • 지표구성: 공통평가항목(비교용이성, 소비자문제 및 불만, 만족도, 신뢰성, 선택가능성, 가격), 전환성, 안전성
    • 조사표본: 개별 시장별 500명
    • 표본추출: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다단계층화추출법
    2017 한국의 소비자시장평가지표
    • 조사시장: 47개 시장(재화 20개, 서비스 27개)
    • 지표구성: 공통평가항목(비교용이성, 소비자문제 및 불만, 기대만족도, 신뢰성, 선택가능성), 독립평가항목(가격, 전환성, 안전성)
    • 조사표본: 개별 시장별 1,000명
    • 표본추출: 성·연령·지역별 변형비례배분법
    2019 한국의 소비자시장평가지표-서비스 시장
    • 조사시장: 31개 서비스 시장
    • 지표구성: 공통평가항목(비교용이성, 소비자불만 및 피해, 기대만족도, 신뢰성, 선택다양성), 독립평가항목(가격, 전환성, 안전성), 보조지표(법령·제도의 소비자지향성)
    • 조사표본: 개별 시장별 1,000명
    • 표본추출: 성·연령·지역별 변형비례배분법
    2020 한국의 소비자시장평가지표-재화 시장
    • 조사시장: 26개 재화 시장
    • 지표구성: 공통평가항목(비교용이성, 소비자불만 및 피해, 기대만족도, 신뢰성, 선택다양성), 독립평가항목(가격, 전환성, 안전성), 보조지표(법령·제도의 소비자지향성)
    • 조사표본: 개별 시장별 1,000명
    • 표본추출: 성·연령·지역별 변형비례배분법
    2021 한국의 소비자시장평가지표
    • 조사시장: 42개 시장(재화 21개, 서비스 21개)
    • 지표구성: 공통평가항목(비교용이성, 소비자불만 및 피해, 기대만족도, 신뢰성, 선택다양성), 독립평가항목(가격, 전환성, 안전성), 보조지표(법령·제도의 소비자지향성)
    • 조사표본: 개별 시장별 1,000명
    • 표본추출: 성·연령·지역별 변형비례배분법
    2024 한국의 소비자시장평가지표
    • 조사시장: 40개 시장(재화 14개, 서비스 21개, 유통·거래 5개)
    • 지표구성: 소비자시장평가지표(신뢰성,가격공정성,선택가능성,소비자불만 및 피해),가격(지불금액·기대금액,가격정보의 충분성·신뢰성·용이성, 가격변동의 원인·합리성·정부개입 필요성),시장별 소비행태(시장별심층문항),소비자시장 체감여건(소비자정책체감도)
    • 조사표본: 개별 시장별 1,000명
    • 표본추출: 성·연령·지역별 변형비례배분법
    클릭KCA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