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소비자뉴스

    뉴스레터

    소비자뉴스뉴스레터소비자칼럼상세보기

    소비자칼럼

    3년전 이맘때... [세상보기]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3년전 이맘때... [세상보기]
    등록일 2009-01-14 조회수 5387
    세상보기(302) 3년전 이맘때...
    3년전 이맘때였습니다.
    회사서 일괄적으로 퇴직금 중간정산을 해줬습니다. 본의 아니게 목돈을 손에 쥐게 됐죠. 3월에 아파트 분양대금을 내면 딱 맞을 금액이었는데, 석달 가까이를 그냥 놀리기가 좀 아깝더군요. 그래서 은행을 찾았죠. 3개월 정기예금 금리는 발바닥 수준이었구요, 부지점장께서 열렬히 권한 펀드에 일부를 넣고 나머지는 직접 주식투자를 해보기로 했습니다. 당시 주가는 연말부터 상승기류를 타고 연일 꼭지점을 새로이 찍고 있었구요, 전 그야말로 상투 잡은 격이었습니다.

    결과는 구구절절 설명하지 않아도 뻔하지요. 완전 거덜났습니다.
    펀드는 바닥을 모른채 추락했고, 주식투자는 사는 것마다 하한가였지요. 제가 사면 하한가, 팔면 상한가를 치더군요. 오죽했으면 친구들 사이 제 별명이 '마이너스의 손'이었겠습니까? 전 남편에게 이혼당할 각오를 하고 주식투자하던 것을 싹 정리했구요.(정리하고 나니 원래 가격을 회복하더군요) 펀드는 울며 겨자먹기로 그냥 뒀습니다. 3월에 넣어야했던 분양대금은 대출받아 막았구요. 그 펀드는 꼭 1년 뒤 주가가 회복하자마자 곧바로 뺐습니다. 3000만원을 1년 넣어 20만원 건졌지요. 손해 안난 걸 위안삼았지요.

    이후 전 버냉키가 '황금어장'이라 소리치는 종목이 있어도 결코 주식쪽은 돌아보지 않기로 했지요. 지난해초 대출을 갚아야할 목돈이 잠시 생겼을 때 또한번 '시험'에 들 뻔 했습니다. 1년 정기예금에 넣겠다는 절 은행 부지점장님은 딱하다는 듯 말리셨어요. 이렇게 경기가 좋은데 펀드에 왜 안 넣냐면서요. 대출 받아서도 펀드 넣는 판이라며 절 마구 부추기셨죠. 당시 그 분은 저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김기자님, 요즘 같은 시절엔 정기예금을 넣는 게 '무모한' 짓이죠." 전 "이 세상에 믿을 사람이 어딨냐. 손실나면 책임 어떻게 지실라고 그러냐"며 완강히 버텼습니다. 그 분은 본인의 지장이라도 찍겠다면서 펀드에 대한 애정을 마구마구 과시하셨지만 자라 보고 놀란 제 가슴을 진정시킬 수는 없었습니다.

    1년이 지난 지금 정말 탁월한 선택이었다는 생각이 새록새록 듭니다. 제 주변엔 펀드 넣어 1/3 토막이 된 이들이 수두룩하구요, 펀드 때문에 망한 모 연예인은 활동 접으려던 결심을 접고 열심히 행사 뛰고 있습니다. 저도 당한 일이지만 은행들은 정말 대책없는 것 같습니다.

    2003년 이후 은행들은 손쉽게 창구에서 펀드를 판매해 수수료를 챙기겠다는 심산으로 펀드 영업에 적극적으로 나섰죠. 증시가 상승기에 있을 때는 그야말로 '황금어장'으로 띄웠구요, 원금 손실이 날 수 있는 펀드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눈가리고 아웅식으로 대처했습니다. 저처럼 꼬치꼬치 따지고 드는 사람 아닌 다음에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게 대세구요, 2007년 중반 이후부터 미국의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로 글로벌 금융 시장이 흔들리는데도 펀드 판매에 집중해서 소비자들의 피해를 키웠지요. 그러나 주가가 40~50% 빠지면서 그야말로 '반토막 펀드'가 급증했습니다. 지난해 에만도 주식형펀드는 해외주식형 34조원, 국내주식형 29조원 등 약 63조원의 평가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최근엔 은행의 펀드 판매를 둘러싼 민원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금융감독원은 펀드를 무책임하게 판매한 모 은행에 투자자 손실액의 50%를 배상하라는 조정안을 내기도 했습니다. 원금 손실이 날 수 있다는 걸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다는 이유였지요. 그렇지만 이 경우는 아주 특수 케이스구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반토막 난 자산에 눈물흘리며 은행창구에 폭탄을 던지겠다는 비장한 심정으로 펀드 상담원들을 찾아가봤자 "기다려보자"는 한숨만 듣고 오는 거죠.

    어찌됐건 고수익형은 그만큼의 위험을 동반합니다. 은행에서 조그만 펀드 하나 들더라도 돋보기 꺼내들고 눈꼽만하게 써진 약관 하나하나 따져보는 지혜가 필요한 때입니다.

     

     

     

     

     

     

    ■  글 / 김소라 기자

        스포츠조선 사회경제부

                
    다음글 약 부작용 - 이것만은 꼭 알아야
    이전글 대형 유통시설 내에서의 소비자 위해 증가하고 있어
    게시물담당자 :
    소비자정보팀김혜린02-3460-3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