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뉴스
피해예방주의보
피해예방주의보
여름용 신발 품질하자 ‘내구성 불량’이 가장 많아 | |||||||||||||||||||||||||||||||||||||||||
---|---|---|---|---|---|---|---|---|---|---|---|---|---|---|---|---|---|---|---|---|---|---|---|---|---|---|---|---|---|---|---|---|---|---|---|---|---|---|---|---|---|
등록일 | 2018-09-20 | 조회수 | 9392 | ||||||||||||||||||||||||||||||||||||||
첨부파일 | |||||||||||||||||||||||||||||||||||||||||
소비자와 함께하는 피해예방주의보 여름용 신발 품질하자 ‘내구성 불량’이 가장 많아- 소재 특성, 착화·보관 환경 등을 고려하여 관리해야 신발 수명 늘릴 수 있어 -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신발제품심의위원회에서 하자 원인 규명 심의를 진행한 여름용 신발 관련 121건 중 약 80%(94건)가 6~7월에 의뢰된 것으로 나타났다.내구성 불량 40.7%, 설계·접착 불량 각각 16.1%, 부소재 불량 11.1% 차지심의 의뢰된 여름용 신발 관련 121건 중 신발 자체의 품질하자로 판단된 81건의 하자원인을 분석한 결과, 내구성 불량 40.7%(33건), 설계 불량 및 접착 불량 각각 16.1%(13건), 부소재 불량 11.1%(9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비즈, 징, 잠금 고리 장식 등 내구성 불량의 주요 내용으로는 열에 의한 수축, 안창 파손, 가죽 손상, 스트랩(끈) 탄력성 상실 및 연결 부위 파손 등이었고, 설계 불량은 스트랩(끈) 길이 상이, 신발 좌우 크기 비대칭 등이 많았다.그밖에도 여름용 신발의 착화 환경, 소재 특성 등으로 인해 장식 등의 부소재 탈락, 수분 접촉이나 접착용액 용출 등에 따른 소재 변색 등이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관리 부주의 시, 여름용 신발 수명 단축한편, 관리 부주의로 판단된 주요 사례를 살펴보면, ▲물에 노출된 신발을 제대로 건조하지 않은 채 보관하여 악취 발생 ▲이물질이 묻은 신발을 그대로 보관하여 갑피 변색 ▲신발 소재 특성상 수분과 접촉하지 않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우천 시 등에 착화하여 이염이 발생한 경우 등이 있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여름용 신발의 경우 겉창·안창 등의 소재, 착화 및 보관 환경 등을 고려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소비자불만사항 분석·공유를 통한 제품 품질 개선 유도향후 한국소비자원은 신발제품심의위원회의 심의결과 품질하자로 판단된 사례를 추가로 분석할 예정이며, 이를 신발 제조·판매업체 및 세탁업체와 공유함으로써, 제품 품질 개선 및 세탁방법 고도화를 통한 기업의 혁신성장에 기여함은 물론 궁극적으로 소비자 친화적인 경영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
|||||||||||||||||||||||||||||||||||||||||
다음글 | 추석연휴 항공, 택배, 상품권, 자동차 견인 소비자 피해 주의! | ||||||||||||||||||||||||||||||||||||||||
이전글 | 대전지역 소비자 피해, 헬스장이 가장 많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