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뉴스
피해예방주의보
피해예방주의보
차량용 블랙박스 ‘무료장착’ 빙자한 얌체상술 주의! | |||||||||||||||||||||||||||||||||||||||||||||||||||||||||||||||||||||||||||||||||||||||||
---|---|---|---|---|---|---|---|---|---|---|---|---|---|---|---|---|---|---|---|---|---|---|---|---|---|---|---|---|---|---|---|---|---|---|---|---|---|---|---|---|---|---|---|---|---|---|---|---|---|---|---|---|---|---|---|---|---|---|---|---|---|---|---|---|---|---|---|---|---|---|---|---|---|---|---|---|---|---|---|---|---|---|---|---|---|---|---|---|---|
등록일 | 2015-03-06 | 조회수 | 26468 | ||||||||||||||||||||||||||||||||||||||||||||||||||||||||||||||||||||||||||||||||||||||
첨부파일 | |||||||||||||||||||||||||||||||||||||||||||||||||||||||||||||||||||||||||||||||||||||||||
소비자와 함께하는 피해예방주의보 차량용 블랙박스 ‘무료장착’ 빙자한 얌체상술 주의!현황(배경/내용)공짜라는 말에 현혹되지 말아야차량용 블랙박스를 무료로 주겠다며 소비자에게 접근하여 교묘한 방법으로 구입대금을 신용 카드로 결제하게 하는 얌체상술이 끊이지 않고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 차량용 블랙박스 ‘무료장착’ 빙자 얌체상술 피해 상담 급증전화권유(텔레마케팅) 또는 방문판매 등을 통해 차량용 블랙박스를 무료로 장착해주겠다고 접근한 후 블랙박스 대금을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얌체상술 피해 상담이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2012년 1월부터 2015년 2월 까지 총 244건 접수됨. 1372 소비자상담센터(www.ccn.go.kr) : 10개 소비자단체, 16개 광역시도 지방자치단체, 한국소비자원이 참여하는 전국 단위의 통합상담처리시스템에 접수된 소비자 상담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2년 65건이던 상담 건수는 2013년 36건으로 감소했다가 2014년에 120 건이 접수되어 전년대비 233.3%(84건) 증가하였고, 2015년 2월 말까지 23건이 접수됨. < 소비자피해 상담 현황 > (단위: 건)
‘선불식 통화권 지급’, ‘신용카드 포인트로 구입 권유’ 상술 피해 많아2012. 1. 1.부터 2015. 2. 28.까지 무료장착을 빙자한 차량용 블랙박스 관련 소비자 상담 244건 중 상술유형이 확인된 208건을 분석한 결과. ‘선불식 통화권 지급’ 상술이 83건(39.9%)으로 가장 많음. 차량용 블랙박스가 무료라며 접근하여 장착한 후 선불식 통화권 구입을 유도하지만 결국 통화권을 지급하지 않거나 일부 금액만 지급한 후 연락이 연락이 두절됨. '신용카드 포인트로 구입 권유’ 상술은 74건(35.6%)이 접수됨. 신용카드 포인트로 구입이 가능하다며 블랙박스를 장착한 후 포인트 적립이 가능한지 조회해보겠다며 신용카드 번호를 알아낸 뒤 대금을 임의로 결제함. ‘이동통신요금 결제수단 변경’ 상술은 29건(13.9%)임. 이동통신요금 납부방법을 신용카드 결제로 변경 시 차량용 블랙박스를 무상 장착해주겠다고 한 후 대금을 임의로 결제함. ‘결제대금 환급?무료주유권 지급’ 상술은 22건(10.6%)으로 블랙박스 대금을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결제된 금액을 일정기간 동안 통장으로 환급해주거나 무료주유권으로 주겠다고 한 후 이를 이행하지 않음. < 무료장착 빙자 상술유형 현황 > (단위: 건, %)
결제금액은 ‘100만 원 이상 200만 원 미만’이 가장 많아피해 상담 244건 중 결제금액이 확인된 196건을 분석한 결과, ‘100만 원 이상 200만 원 미만’이 99건(50.5%)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00만 원 미만’ 79건(40.3%), ‘200만 원 이상 300만원 미만’ 9건(4.6%) 등의 순임. < 결제금액 현황 > (단위: 건, %)
‘방문판매’로 인한 피해가 절반 이상판매방법을 분석한 결과, ‘방문판매’가 143건(58.6%)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텔레마케팅을 통해 차량용 블랙박스를 무료로 장착 해주겠다고 유인한 ‘전화권유 판매’ 80건(32.8%), ‘노상판매’ 21건(8.6%)임. < 판매방법 현황 > (단위: 건, %)
피해 소비자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 거주무료장착 상술에 속아 피해를 본 소비자의 거주 지역을 보면, ‘수도권’이 121건(49.6%)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중부권’ 50건(20.5%), ‘영남권’ 46건(18.9%), ‘호남권’ 27건(11.0%) 순임. < 소비자거주 지역 현황 > (단위: 건, %)
지역별 구분 :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영남권(부산·울산·경남·경북·대구), 중부권(충남·충북·대전·강원), 호남권(전남·전북·광주) 소비자 피해사례【사례1】선불식 통화권 제공김모씨(남, 50대, 서울시)는 2014. 11. 30. 방문판매사원이 차량용 블랙박스를 무료로 장착하고 신용카드 할부로 180만 원을 결제하면 이동통신 선불식 통화권 190만 원을 주겠다고 하여 결제하였으나, 통화권을 주지 않음. 【사례2】신용카드 포인트로 구입 권유김모씨(남, 50대, 경기도 평택시)는 2015. 1. 13. 용인 휴게소에서 판매원으로부터 사용하고 있는 ○○화물복지카드에 하이세이브를 신청하면 포인트가 추가 적립되고 적립금으로 차량용 블랙박스와 후방 카메라도 구입할 수 있어 무료나 다름없다고 함. 【사례3】이동통신요금 결제수단 변경 권유박모씨(남, 60대, 고양시)는 2014. 10. 방문판매사원이 이동통신요금 결제수단을 신용카드로 변경하면 차량용 블랙박스를 무료장착 해주겠다고 하여 신용카드를 건네줌. 【사례4】무료주유권 지급이모씨(남, 60대, 수원시)는 2014. 1. 방문판매사원이 차량용 블랙박스를 무료로 장착해준다고 하여 동의함. 소비자 주의사항(방안)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
|||||||||||||||||||||||||||||||||||||||||||||||||||||||||||||||||||||||||||||||||||||||||
다음글 | 온라인으로 구매한 가구 피해비율 매년 상승 | ||||||||||||||||||||||||||||||||||||||||||||||||||||||||||||||||||||||||||||||||||||||||
이전글 | 인터넷교육서비스 소비자 피해예방주의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