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소비자뉴스

    카드뉴스

    소비자뉴스카드뉴스상세보기

    카드뉴스

    고령자 안전사고 10건 중 6건이 낙상사고로 나타났어요!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고령자 안전사고 10건 중 6건이 낙상사고로 나타났어요!
    등록일 2022-09-01 조회수 8874
    고령자 안전사고 10건 중 6건이 낙상사고로 나타났어요
    최근 4년간(2018~2021년) 65세 이상 고령자에게 발생한 안전사고의 62.7%가 낙상사고*로 나타났어요 *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추락,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 2018년 6133건, 2019년 6218건, 2020년 5862건, 2021년 5348건, 총23561건, 이 중 낙상사고는 14778건으로 전체의 62.7% 차지,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 농촌진흥청은 고령자의 낙상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주의보를발령했어요
    뇌진탕 사례가 가장 많았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둔부 골절이 증가했어요 낙상사고로 인한 주요 위해부위는 머리 및 뇌(뇌막), 다리(무릎 위), 둔부 순으로 나타났어요. 머리 및 뇌(뇌막) 3014건(20.4%), 다리(무릎 위) 2425건(16.4%), 둔부1675건(11.3%), 허리 1145건(7.8%) 특히 연령이 높아질수록 무릎 위 다리와 엉덩이뼈 등의 둔부 골절 비율이 높아졌어요. 80세 이상에서 위해부위의 30% 이상 차지.
    낙상사고의 74%가 주택에서 발생했어요. 주택 11055건 (74.8%), 도로 및 인도 847건 (5.7%), 복지 및 노인요양시설 587건 (4.0%), 여가, 문화 및 놀이시설 474건 (3.2%). 전체 낙상사고 14778건 중 74%가 욕실 바닥에서 미끄러지거나 침대에서 떨어지는 등 주택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주택 내에서 발생하는 낙상사고는 화장실과 침대 근처에 안전손잡이 등 보호장치를 설치해 예방할 수 있어요.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농촌에서는 경운기, 사다리로 인한 낙상사고가 많이 발생했어요. 경운기 낙상사고 사례 운전 중 낙상 후 경운기가 멈추지 않아 그대로 깔림 사다리 낙상사고 사례 사다리를 고르지 못한 바닥에 설치해 작업 중 떨어짐 농기계 관련 손상 경운기 35.0%, 예취기 17.2%, 트랙터 12.3% 농기구 관련 손상 사다리 51.9%, 낫 18.6%, 운반상자 6.7%
    공정거래위원회, 한국소비자원, 농촌진흥청은 낙상사고 예방을 위해 당부했어요. 바닥의 물기나 기름기는 바로 닦고, 욕실 화장실 등 미끄러운 곳에는 미끄럼 방지 바닥재 매트를 설치하세요. 침대와 변기 근처에 지지할 수 있는 안전손잡이를 설치하세요. 짐이 있는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보다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세요. 사다리는 경사가 심하거나 바닥이 울퉁불퉁한 곳에 설치하지 마세요.
    자세한 정보는 상품정보부터 피해구제까지 소비생활의 모든 단계를 지원하는 소비자24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www.consumer.go.kr
    다음글 추석 명절 택배, 상품권 소비자 피해 주의하세요!
    이전글 [9월 소비툰] 명절 인기 선물! 홍삼 제품 고르는 꿀팁
    게시물담당자 :
    위해예방팀손형수(043)880-5423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평가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