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소비자뉴스

    카드뉴스

    소비자뉴스카드뉴스상세보기

    카드뉴스

    간편결제 서비스 만족도, '결제 편의성' 높고 '혜택·부가서비스' 낮아요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간편결제 서비스 만족도, '결제 편의성' 높고 '혜택·부가서비스' 낮아요
    등록일 2022-08-09 조회수 13271
    간편결제 서비스 만족도, '결제 편의성' 높고 '혜택·부가서비스' 낮아요
    비대면 소비가 일상화되고, 쉽고 빠른 결제서비스를 찾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간편결제 시장도 커지고 있어요 [일평균 간편결제 이용액] 출처 : 한국은행 - 20년 : 4,492억원(1,454만건) - 21년 : 6,065억원 (1,981만건) 35% 증가 한국소비자원은 간편결제 서비스*의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소비자 만족도 및 이용실태를 조사했어요 * 간편결제 서비스 : 기존의 공인인증서 등 복잡한 결제 단계를 거치지 않고, 생체인증과 비밀번호, 스마트폰 접촉 등 최소한의 인증만으로 결제하는 방식
    종합만족도는 삼성페이가 가장 높아요 [조사개요] - 조사대상 :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경험자 1,500명 (사업자별* 300명 할당) *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토스페이. 페이코 (가나다순) 등 상위 5개 사업자 - 조사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 (’22.5.10. ~ 5.17.) - 분석개요 : 만족도는 부문별 가중 평균 적용 (5점 리커트 척도),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2.53%p [종합만족도 평균 3.85점] 삼성페이 : 4.06점, 네이버페이 : 3.89점, 토스페이 : 3.86점, 카카오페이 : 3.75점, 페이코 : 3.67점
    간편결제 서비스 소비자 만족도 (단위: 점/ 5점 척도) [부문별 만족도 (평균)] - 서비스 상품 만족도 : 4.04 - 서비스 품질 만족도 : 3.82 - 서비스 체험 만족도 : 3.55 [포괄적 만족도 (평균)] - 전반적 만족도 : 4.02 - 기대 대비 만족도 : 3.90 (해당 업체의 서비스 수준에 대한 기대 대비 만족도) - 이상 대비 만족도 : 3.87 (산업 전반에 제공해야 하는 이상적인 서비스 수준 대비 만족도)
    서비스상품 주요 요인별 만족도(평균) (단위: 점/ 5점 척도) - 결제 편의성·정확성 : 4.29점 - 취소·환불 용이성 : 4.00점 - 혜택·부가서비스 : 3.85점 주요 소비자피해 유형 ‘결제 실패’ 가장 많아요 - 조사대상 1,500명 중 234명 (15.6%) [주요 소비자 피해(복수응답)] 1) 결제실패 : 51.7%(121명) 2) 환불·결제취소 지연 : 31.2%(73명) 3) 할인·포인트적립 미적용·누락 : 171.1%(40명)
    주 이용 서비스는 온라인 물품구매 결제가 61.7%였어요[간편결제 서비스 이용 소비자 1,500명 대상(복수응답)] - 온라인 물품구매 결제 : 61.7%(925명) - 오프라인 물품구매 결제 : 20.3%(304명) - 송금 : 11.1%(167명) [간편결제 주요 사용처(복수응답)] 1) 온라인 쇼핑몰 : 69.2%(1,038명) 2) 편의점 : 12.5(188명) 3) 대형마트 : 6.6%(99명) 4) 중소형마트·슈퍼마켓 : 5.5%(82명)
    10회 결제 시 간편결제 이용 5.21회로 절반 이상이에요 [소비자가 10회 결제 시] - 간편결제 서비스 5.21회 - 신용·체크카드 3.54회 :: 최근 소비자들은 간편결제 방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자세한 정보는 상품정보부터 피해구제까지 소비생활의 모든 단계를 지원하는 소비자24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www.consumer.go.kr
    다음글 이동통신 부가서비스, 가입 시 소비자 동의 절차 및 요금 고지 강화 필요해요
    이전글 스마트워치, 제품별로 운동량 측정 정확도·주요 보유기능 등에 차이 있어요
    게시물담당자 :
    유통조사팀조해령(043)880-5565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평가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