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소비자뉴스

    카드뉴스

    소비자뉴스카드뉴스상세보기

    카드뉴스

    소비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반려동물 사료 표시사항 개선해야해요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소비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반려동물 사료 표시사항 개선해야해요
    등록일 2022-02-15 조회수 9806
    소비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반려동물 사료 표시사항 개선해야해요
    1인·2인 가구 증가로 반려동물 양육가구가 늘면서 관련 산업도 크게 성장하고 있어요 양육 가구수 (농림축산식품부) 2018 511만, 2019 591만, 2020 638만 한국소비자원이 반려동물 양육비 지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반려동물 사료와 관련해 소비자 피해 및 실태를 조사했습니다
    반려동물 사료 관련 소비자상담 지속적으로 발생했어요최근 5년간(’17.1~’21.10)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반려동물 사료 관련 소비자상담은 1,475건으로 매년 평균 300건 내외로 꾸준히 접수 되고 있어요 * 1372소비자상담센터 :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한국소비자원, 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 상담 사유 제품 내 이물 발견·변질 15.9% (가장 많음), 배송지연·미배송 12.8, 유통기한 경과·임박 10.8%, 사료 급여 후 이상증상 10.0%
    소비자 57.9%는 원료명칭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했어요 - 최근 1년 내 반려동물 사료 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 2,000명 대상 - 제품 포장에 표기한 사료 원료명칭을 확인해보니 동일한 원료명칭을 제품마다 다르게 표기하고 있었어요 의미가 다르다 36.7%, 잘 모르겠다 21.2% 동일한 원료명칭의 다양한 표현 계육분 = 닭고기 분말 = 닭고기 가루 = 닭고기 분, 어유 = 생선 오일 = 생선 기름 = 피쉬 오일
    사료의 원료 함량·원료 원산지 등을 추가로 표시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어요 사료의 의무 표시사항*(12개)에 대한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단위:점) *「사료관리법」유통기한 4.33, 제조연월일 4.29, 등록성분량 4.15, 사료의 용도 4.14, 원료명칭 4.10 추가로 어떤 표시가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원료함량, 원료 원산지, 반료동물 급여방법등의 표시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어요 특히 원료함량의 표시는 응답자 전체의 84.1%(1,682명)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어요
    주로 온라인으로 구매하고, 구매 시 '인증마크·영양성분' 우선 확인했어요 소비자가 주로 사료를 구매하는 장소 온라인 63.0% (가장많음), 오프라인(기타 제외) 36.4% (반려동물 전문매장 18.8%, 대형마트 12.1%, 기타 5.5%) 구매시 고려하는 표시사항 1)인증마크(HACCP, 유기사료 등) 유무 25.6%, 2)영양성분 표시 25.0%, 3)원료 주성분 표시 18.8%, 4)원산지(국산/수입) 표시 9.8%
    조사대상의 40% 제품은 국·영문간 등록성분량 표시가 달라 소비자 혼동 우려돼요 조사대상: 주요 제조(수입)사 사료브랜드의 10개 제품* (우리와, 로얄캐닌, 한국마즈, 대주산업, 롯데네슬레코리아, 카길코리아, 이글벳, 하림펫 푸드 등)** * 주식 10개 제품(반려견 사료 5개, 반려묘 사료 5개) **국내 펫푸드 시장 내 순위(수의사신문 데일리벳, '21.6.4., 유로모니터 자료 인용) 4개 제품은 등록 성분량 표시의 국내·외 기준 차이로 소비자가 혼동할 우려가 있었어요 국내에서는 등록성분에 따라 최소·최대량을 표시* / 외국은 평균치 등을 표시하기도 함 조지방 13% 이상 = Crude fat(min) 17%, 조단백 19% 이상  = Protein 21.0%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농림축산식품부고시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면, 거래내역, 증빙서류 등을 갖추어 상담 또는 피해구제를 신청할 수 있어요 1372 소비자상담센터 국번없이 1372(유료) www.ccn.go.kr 소비자24 인터넷 모바일앱으로 간편하게 www.consumer.go.kr
    다음글 2022년 1월 소비자상담 증가율이 높은 품목은?
    이전글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고온에서 사용 시 충전속도 최대 2.8배 느려져요
    게시물담당자 :
    조정3팀조지영(02)3460-3064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평가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