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소비자뉴스

    카드뉴스

    소비자뉴스카드뉴스상세보기

    카드뉴스

    SNS 부당광고 모니터링 및 실태조사 결과 발표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SNS 부당광고 모니터링 및 실태조사 결과 발표
    등록일 2022-01-28 조회수 10285
    SNS 광고를 보고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 불만이 증가했어요 SNS 부당광고 실태조사(한국소비자원)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SNS를 통한 광고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SNS 광고를 보고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 불만이 증가하고 있어요
    SNS 광고를 보고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 불만 증가했어요 한국소비자원 최근 5년간(’16.1월~’21.10월)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SNS(페이스북·인스타그램·유튜브) 관련 상담 건수**   * 1372소비자상담센터 :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한국소비자원, 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 ** 1372소비자상담의 연령 구분에 따라 10대이하와 20대의 소비자상담 분석 SNS 광고를 보고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 상담 접수 현황 (단위 : 건, (월평균 건))  2016년 32(2.7) 2021년 10월 168(16.8) 5.2배 증가 소비자 상담 이유 배송지연·연락두절 32.6%(238건) 청약철회 ·계약해지 29.1%(213건) 품질 불만 14.8%(108건)
    SNS에 부당광고 더 많다고 생각하지만 신고기능 사용 비율은 낮았어요 설문조사 개요 조사대상 : 최근 1개월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를 모두 이용한 경험이 있으며 이를 통해 광고를 접한 경험이 있는 만 19세 이상의 소비자 500명 조사방법 :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조사 조사기간 : 2021. 11. 5. ~ 2021. 11. 12. (5점 척도) Q. 인플루언서 광고의 신뢰성 SNS광고가 다른 매체(TV, 신문 등)에 비해 신뢰성이 높다고 생각하시나요? 2.94 TV, 신문 등 다른 매체와 비슷한 신뢰도에요 Q. 부당광고의 수 SNS광고가 다른 매체(TV, 신문 등)에 비해 부당광고가 많다고 생각하시나요? 3.51 다른 매체에 비해 SNS 부당광고가 더 많은 편인거 같아요
    Q. SNS 부당광고에 대해 신고기능 사용 경험 SNS의 부당광고에 대해 SNS 신고 기능을 사용한 경험이 있나요? 24.8%(124명) 신고기능 사용 경험 있어요 75.2%(376명) 신고기능 사용 경험 없어요 신고기능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 신고기능 사용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376명 대상, 5가지 이유 중 2개 선택  신고기능을 사용하더라도 적절한 조치가 되지 않을 것 같아서요 69.9%(263명) 신고기능을 사용하기 불편해서요 62.5%(235명) 신고기능이 있는지 몰라서요  41.5%(156명)
    SNS상 부당광고에 대한 SNS 사업자의 적극적인 역할 필요해요 SNS 부당광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 (응답자 500명, 5점 척도) SNS 사업자의 역할 1. SNS 사업자의 광고주 및 인플루언서 부당광고에 대한 심의 · 규제 강화 3.80점 2. SNS 사업자의 광고주 및 인플루언서 대상 광고 관련 준수할 사항에 대한 안내 강화 3.58점 3. SNS 사업자의 신고기능 사용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개선 3.58점 정부, 공공기관 등의 역할 4. 정부 · 공공기관 등의 부당광고 모니터링 및 시정조치 강화 3.72점 5. 정부 · 공공기관 등의 소비자 · 인플루언서 · 광고주 · SNS사업자 대상 광고 교육 · 홍보 강화 3.41점 소비자의 역할 6. 소비자의 적극적인 신고기능 사용 3.61점 ※ 5점 척도, 5점에 가까울수록 효과적이라 생각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면, 거래내역, 증빙서류 등을 갖추어 상담 또는 피해구제를 신청할 수 있어요 1372 소비자상담센터 국번 없이 1372(유료) www.ccn.go.kr 소비자24 인터넷 모바일앱으로 간편하게 www.consumer.go.kr
    다음글 식기세척기 세제의 세척성능 및 경제성, 제품별로 차이 있어요
    이전글 2021년 12월 소비자상담 증가율이 높은 품목은?
    게시물담당자 :
    시장감시팀김영재(043)880-5714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평가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