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소비자뉴스

    카드뉴스

    소비자뉴스카드뉴스상세보기

    카드뉴스

    백내장 수술, 꼼꼼히 따져보고 결정하세요!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백내장 수술, 꼼꼼히 따져보고 결정하세요!
    등록일 2021-10-21 조회수 10162
    백내장 수술, 꼼꼼히 따져보고 결정하세요!
    우리나라 인구의 고령화 추세와 함께 백내장 수술*이 늘면서 소비자 피해와 진료비 부담도 증가하고 있어요. 한국소비자원이 백내장 수술 관련 소비자 피해 및 진료비 실태를 조사했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수술 건수 1위 2019년 주요 수술 통계 연보, 국민건강보험공단,’20. 12 최근 5년간 백내장 수술건수, 진료비용 추이 2015년 건수 491,926 진료비용(백만원) 460,459 2016년 건수 518,663 진료비용(백만원) 460,459 2017년 건수 549,471 진료비용(백만원) 531,789 2018년 건수 592,191 진료비용(백만원) 606,123 2019년 건수 689,919 진료비용(백만원) 716,732 *출처 : 건강보험공단,2019년 주요수술통계연보('20. 12.)
    백내장 수술 관련 소비자 민원이 꾸준히 발생해요 안과 의료 서비스 관련 소비자상담 현황 ‘15년~’21.6월 동안 1372소비자 상담센터*에 접수된 상담건수 *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로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 총 3,945건 백내장 수술 관련 (1,254건) 31.8% 같은 기간 접수된 백내장 수술 관련 피해구제 신청 135건 중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관련 60건(44.4%) 다초점인공수정체 총비용 최저 154만원 최고 983만원
    백내장 수술관련 소비자 인식이 미흡해요 인공수정체 종류 인식 조사 결과 백내장 수술 경험이 있는 소비자 410명 대상 잘모름 104명(25.4%) 급여 단초점렌즈 이용 187명(45.6%) 원거리나 근거리에 단일 초점을 맞춰 놓은 인공수정체 비급여 다초점렌즈 이용 109명(26.6%) 원거리, 근거리, 중간거리에 모두 초점이 맞도록 제작된 특수렌즈 무응답 10명(2.4%) 204명(49.8%)은 급여/비급여 대상을 모르고 있었어요.
    다초점 인공수정체 품목 분류 정비 필요해요 소비자가 혼동하지 않도록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는 등 명확한 구분이 필요해요 의료기기 분류 기준과 다르게 비급여 진료비 관련 규정에서는 다초점인공수정체를 ‘조절성 인공수정체’로 표기 소비자가 백내장 수술 비용을 보다 쉽게 알 수 있도록 개선이 요구돼요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에 따라 상품별로 조회할 수 있는 다초점인공수정체 금액을 비급여코드*와 함께 표시되도록 개선 요구 * 「국민건강보험법」에 근거하여 건강보험 급여대상에서 제외되는 진료비용의 코드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다초점인공수정체 품목분류 명확화 등 관련 규정의 개선을 관계 부처에 건의하고, 업계에는 수술 전에 수술 비용, 부작용 등을 소비자에게 충분히 설명하도록 권고할 예정이에요
    백내장 수술 시 주의하세요! 수술 필요성, 수술 효과, 부작용 등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듣고 수술 여부를 신중히 결정하세요 수술 전 인공수정체 종류를 확인하고 비급여 치료재료일 경우 금액을 확인하세요 수술 후 정기검진과 철저한 관리로 합병증을 예방하세요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면, 거래내역, 증빙서류 등을 갖추어 상담 또는 피해구제를 신청할 수 있어요 1372 소비자상담센터 국번없이 1372 www.ccn.go.kr 소비자24 인터넷 모바일앱으로 간편하게 www.consumer.go.kr
    다음글 살균제, 건강과 환경에 무해한 것으로 오해를 유발하는 광고 내용에 주의하세요!
    이전글 TC Electronic 기타조율기(Polytune Clip, Polytune Clip Black, Unitune Clip) 단추형 전지관련 주의 경고 표시 안내
    게시물담당자 :
    의료팀백아름(043)880-5798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평가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