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뉴스
카드뉴스
카드뉴스
잘쓰면 약, 못쓰면 독 주식투자정보서비스 | |||||
---|---|---|---|---|---|
등록일 | 2019-04-03 | 조회수 | 10581 | ||
# 잘쓰면 약, 못쓰면 독
주식투자정보서비스 똑똑한 투자를 위해 주의해야할 점 알아봅시다! # 고급 주식투자 정보를 제공해준다는 업체들 많이 보셨죠? 2017년 1,855건 ↑4.1배 증가 2018년 7,625건 그런데, 최근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관련 소비자 피해가 무려 4배 이상 급증 했습니다!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관련 상담 건수] # 2018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피해구제 신청 1,621건을 분석해보니 소비자 피해 10건 중 9건이 계약해지 관련 피해! 위약금 과다 청구 환급 거부·지연 부가서비스 불이행 기타 위약금 과다 청구 - 1,090건(67.2%) 환급 거부·지연 - 458건(28.3%) (계약해지 관련 피해 95.5%) 부가서비스 불이행 - 48건(3.0%) 기타 - 25건(1.5%) 중도해지 시 위약금이 과다하게 청구되어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입 시 신중하게 고민해야 합니다! # 가입하면 탈퇴가 어렵고 설상가상, 고객불만을 제기할 게시판 자체가 없는 곳도 있다고 합니다 지난해 하반기 서울특별시 전자상거래센터에서 실시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이 가능한 77개 업체중 24.7%(19개) 가입후 탈퇴가 불가능하거나 탈퇴 방법 고지 없음 89개 유사투자자문업자 중 13.5%(12개) 고객불만 게시판을 운영하지 않음 #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라 주식투자정보 서비스 이용에 앞서 꼭 Check Check! 충동 계약은 NO! '고수익 보장 광고'나 '할인가 프로모션' 등에 현혹되지 않습니다 중도해지 시 과다한 비용 공제조건이 있는지 계약내용을 꼼꼼히 확인합니다 무료 서비스, 사은품 등을 제공하는 경우 해지 시 관련 비용을 차감하는지 확인합니다 계약 불이행에 대비해 대금결제는 신용카드 할부로 하고, 해지 요청 시 녹취 등 증거자료를 남겨둡니다 |
|||||
다음글 | 수입차, 안전하게 타는 방법은? 계약 전 체크리스트 | ||||
이전글 | 전자상거래를 통해 구입한 가구 피해 현황을 파헤쳐 봅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