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소비자뉴스

    보도자료

    소비자뉴스보도자료상세보기

    보도자료

    주요 가정간편식, 유통업태 간 최대 48.3% 가격 차이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주요 가정간편식, 유통업태 간 최대 48.3% 가격 차이
    등록일 2020-10-28 조회수 7208
    첨부파일

    이 자료는 1028() 06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주요 가정간편식, 유통업태 간 최대 48.3% 가격 차이

    - 전년 대비 5개 품목 가격 상승, 6개 품목 가격 하락 -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1인 가구의 증가와 함께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시행으로 수요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주요 가정간편식* 12개 품목 42개 상품의 판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유통업태에 따라 최대 48.3% 가격차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 분류 상 즉석식품류, 조미식품, 면류를 포함하는 광의의 가정간편식 중 시장 규모를 고려하여 12개 품목 선정(냉동만두, 라면, 스프, 즉석국, 즉석밥, 즉석죽, 즉석짜장, 즉석카레, 컵라면, 컵밥, 컵스프, 탕·찌개)

    (상품 가격차) 유통업태 간 최대 48.3% ~ 최소 6.0% 차이

    조사대상 42개 상품 중 유통업태 간 가격차가 가장 큰 상품은 `오뚜기 맛있는 오뚜기밥(210g)'으로 최고가(SSM 1,891원)와 최저가(대형마트 978원)의 차이는 48.3%였다. 다음으로 가격차가 큰 상품은 `동원 양반 밤단팥죽(285g)'으로 최고가(편의점 3,900원)·최저가(SSM 2,085원) 간 46.5%의 차이가 났다.

    반면, ‘오뚜기 진라면 순한맛(120g×5개)'과 `대상 청정원 옛날식짜장(180g)'의 경우 유통업태 간 가격차가 각각 6.0%와 8.2%로 상대적으로 작았다.

    (주요 상품 총 구입비용) 대형마트·전통시장·SSM 순으로 저렴

    품목별로 주요 상품을 선정*하여 10개 상품의 총 구입비용을 업태별로 비교한 결과, 대형마트(19,972원), 전통시장(22,025원), SSM(22,626원), 백화점(22,978원), 편의점(27,325원) 순으로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형마트가 편의점보다 26.9%, 백화점보다 13.1% 더 저렴했다.

       * 5개 업태에서 공통으로 취급하는 10개 품목을 대상으로 취급 판매점 수가 가장 많은 상품을 품목당 1개씩 선정

    (전년 대비) 컵밥·즉석짜장·라면 가격 상승, 스프·탕·찌개 가격 하락

    조사대상 품목 중 전년 대비 판매가격 비교가 가능한 11개 품목의 가격 변동률은 6.9% ~ -4.4%로 나타났다. 컵밥(6.9%)·즉석짜장(5.6%)·라면(1.1%) 등 5개 품목의 가격이 상승했으며, 스프(-4.4%)·탕·찌개(-3.8%)·컵스프(-2.9%) 등 6개 품목은 가격이 하락했다.

    한국소비자원은 동일한 제품이라도 구입 시기와 판매점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큰 만큼 생필품을 구입하기에 앞서 생필품 가격정보가 주간 단위로 제공되고 있는 ‘참가격(www.price.go.kr)’ 사이트에서 판매가격, 할인정보 등을 확인해 줄 것을 당부했다.

    [ 조사 개요 ]

    * 조사 기간 : 2020. 9. 16.(수) ∼ 9. 25.(금)

    * 조사 대상

      - 품목·상품 : 가정간편식 12개 품목, 42개 상품

      - 판매점 : 전국 97개 판매점

        · 전통시장 37개, 대형마트 23개, SSM 22개, 백화점 12개, 편의점 3개

    * 조사 내용 : 상품의 실제 판매가격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 시장조사국 유통조사팀
      박지민 팀장(043-880-5561), 전명수 조사관(043-880-5565)
    다음글 PC용 모니터, 밝기 균일성·색 표현력 등에서 성능 차이 있어
    이전글 한방진료 분쟁 중 한약 치료 관련 피해가 절반 이상 차지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