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소비자뉴스

    보도자료

    소비자뉴스보도자료상세보기

    보도자료

    저가형 휴대용 카시트, 안전인증 표시 없고 보호기능도 미흡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저가형 휴대용 카시트, 안전인증 표시 없고 보호기능도 미흡
    등록일 2020-02-27 조회수 10137
    첨부파일

    이 자료는 228()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2월 27일(목) 12시]

    저가형 휴대용 카시트, 안전인증 표시 없고 보호기능도 미흡

    - 2개 제품에서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폼알데하이드도 검출돼 -

    6세 미만 영유아를 위한 카시트(자동차용 어린이보호장치) 장착이 의무화되면서 휴대용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지만, 안전인증을 받지 않은 제품이 해외직구(구매대행)를 통해 다수 판매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보험개발원(원장 강호)이 저가형 휴대용 자동차용 어린이보호장치 15개 제품*을 공동으로 조사한 결과, 전 제품에 안전인증 표시가 없었고 일부 제품은 안전기준에도 부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

    * 포털 검색순위 상위권 제품 중 5만원 이하 제품 선정

    차량충돌시험 결과, 어린이 보호기능 미흡해 상해위험 높아

    모두 미인증 제품으로 확인된 조사대상 15개 제품 중 2개 제품과 별도로 구매한 1개의 KC 인증 제품을 시험하여 비교한 결과, 미인증 제품은 차량 충돌 시 더미 상체가 크게 움직여 상해 위험이 높았다.

    □ 차량충돌시험(보험개발원) : 6세 더미를 중형 자동차(NF소나타) 2열 시트에 탑승시킨 후 주행(50Km/h) 중 차대고정벽 충돌

    구분 #1 #15 비교용(KC인증제품)
    머리이동
    몸통이동
    결과 골반 고정장치 파손됨.
    골반부위가 고정되지 않아
    앞으로 미끄러짐.
    목부위 횡방향 찢어짐.
    어깨, 가슴, 골반이 시트에서 이격됨.
    더미를 적절히 고정함.

    충돌시험 후 1종(#15)은 더미 목부위가 횡방향으로 찢어졌으며, 다른 1종(#1)은 골반 부위 고정장치가 파손돼 더미의 골반부위가 고정되지 못했다. 반면 비교용 인증 제품은 더미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며 적절하게 고정했다.

    2개 제품에서 기준을 초과하는 폼알데하이드 검출

    조사대상 15개 제품 중 2개 제품(13.3%)의 원단에서 안전기준*을 초과한 폼알데하이드가 검출됐다. 2개 제품의 폼알데하이드 함유량은 허용기준(75mg/kg)을 각각 약 2.2배(166mg/kg)와 1.8배(138mg/kg) 초과했다.

    *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산업통상자원부 고시 2018-266호)

    시료번호 제품명 제품사진 검출부위 제조국 폼알데하이드
    함유량(mg/kg)
    #11 간이 유아동 카시트
    자동차용 아기 키높이
    휴대용 카시트
    원단 (검정) 중국 138
    #13 귀여운 토끼카시트
    키높이 휴대용보조시트
    원단 (검정) 중국 166

    폼알데하이드: 동물의 가죽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유연성을 늘리고,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호흡기나 피부를 통해 체내로 흡수되어 접촉성 피부염, 호흡기ㆍ눈 점막 자극 등을 유발할 수 있음. 세계보건기구(WHO) 산하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발암물질(Group1)로 분류하고 있음.

    안전인증 받지 않은 제품 유통·판매 금지 필요

    조사대상 15개 전 제품에 안전인증, 주의·경고 등의 표시사항이 없었는바, 해외직구(구매대행) 형태로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제품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자동차용 어린이보호장치의 제조·사용 연령기준이 관련 법마다 다르고 사용자 보호에도 미흡하므로 영유아 및 어린이의 안전 확보를 위해 의무 사용대상을 연령 및 신장 기준으로 확대하고 기준도 통일할 필요가 있다.

    □ 자동차용 어린이보호장치는 몸무게 36kg 이하의 신생아·젖먹이 유아 및 어린 학생을 대상으로 제조(산업통상자원부 안전인증기준)되고 있음에도, 도로에서의 착용 의무는 6세 미만 영유아(도로교통법)로 한정하고 있음.

    □ 어린이가 성인용 안전벨트를 착용할 경우 어깨벨트가 목을 감거나 골반벨트가 복부에 충격을 가해 장파열 등의 상해가 발생할 수 있어, 해외에서는 신장·연령 등으로 의무 사용대상을 규정하고 있음.(독일은 신장 150cm미만이거나 12세까지 의무착용 등)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업체에 미인증 제품의 자발적 판매중지 및 폐기를 권고했고 , 해당 업체는 이를 수용해 조치를 완료했다 . 아울러 소비자들에게 안전인증표시가 없는 제품을 구매하지 않도록 당부했다.

    한편 국가기술표준원에는 ▲안전인증을 받지 않은 제품의 유통·판매 금지, ▲자동차용 어린이보호장치 안전관리·감독 강화, ▲자동차용 어린이보호장치 의무사용대상 조정(연령 및 신장 기준 도입·통일)을, 경찰청에는 ▲자동차용 어린이보호장치 의무사용대상 조정(연령 확대)을 요청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 한국소비자원 안전검사국 생활안전팀
      김병법 팀장(043-880-5831), 안동훈 조사관(043-880-5835)

    • 보험개발원 시험연구팀
      김관희 팀장(031-644-1626), 임종훈 연구위원(031-644-1617)
    다음글 검증되지 않은 코로나19 거짓광고로 인한 소비자 피해 주의해야
    이전글 배달앱, 사업자정보 부족하고 취소 절차 안내 미흡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