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뉴스
보도자료
보도자료
2020년 1월, 마스크 등 ‘보건·위생용품‘ 관련 소비자상담 증가율 높아 | |||||
---|---|---|---|---|---|
등록일 | 2020-02-14 | 조회수 | 7159 | ||
첨부파일 | |||||
이 자료는 2월 14일(금) 06시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020년 1월, 마스크 등 ‘보건·위생용품‘ 관련 소비자상담 증가율 높아
소비자상담 전월 대비 3.4% 감소2020년 1월 소비자상담은 57,641건으로 전월(59,655건) 대비 3.4%(△2,014건) 감소했고, 전년 동월(66,913건) 대비 13.9%(△9,272건) 감소했다. 전월 대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품목의 상담 증가율 높아상담 증가율 상위 품목을 분석한 결과, 전월 대비 ‘보건·위생용품’이 1,153.7%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국외여행’(395.8%), ‘항공여객운송서비스’(59.4%), ‘외식’(43.8%), ‘호텔·펜션’(42.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보건·위생용품’의 경우 전자상거래를 통해 구입한 마스크의 배송지연 및 구매취소 관련 소비자 불만이 많았다. ‘국외여행’, ‘항공여객운송서비스’ 등 여행 관련 품목과 ‘외식’, ‘호텔·펜션’ 등 다중 이용시설 관련 품목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우려로 인해 계약을 취소하면서 발생한 위약금 문제가 많았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높았던 품목은 ‘보건·위생용품’(551.0%), ‘비데 대여(렌트)’(289.1%), ‘국외여행’(250.9%) 등이었다. 상담 다발 품목으로는 ‘국외여행’이 3,649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의류·섬유’ 3,114건, ‘정수기 대여(렌트)’ 1,717건 순이었다. 30대(30.3%), 품질·A/S(25.5%) 관련 소비자상담 많아연령대별로는 30대가 16,329건(30.3%)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14,909건(27.5%), 50대 10,552건(19.5%) 순이었다. 상담사유별로는 ‘품질·A/S’(14,711건, 25.5%), ‘계약해제·위약금’(14,617건, 25.4%), ‘계약불이행’(8,484건, 14.7%) 순이었으며, 일반판매를 제외한 특수판매 중에는 ‘국내 전자상거래’(15,710건, 27.3%), ‘방문판매’(2,519건, 4.4%), ‘전화권유판매’(1,594건, 2.8%)의 비중이 높았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
|||||
다음글 | 속눈썹펌제 관리방안 마련 필요 | ||||
이전글 | 반려동물 판매업체, 법을 준수하지 않은 계약서 교부 많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