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뉴스
보도자료
보도자료
2019년 2월 소비자 빅데이터 트렌드 | |||||
---|---|---|---|---|---|
등록일 | 2019-03-15 | 조회수 | 6845 | ||
첨부파일 | |||||
이 자료는 3월 15일(금) 6:00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019년 2월 소비자 빅데이터 트렌드- 전년 동월 대비 ‘투자자문(컨설팅)‘, ‘침대‘ 관련 불만 증가 -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강정화)는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상담을 빅데이터 시스템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2019년 2월 전체 상담 건수가 설 명절 연휴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25.8% 감소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월 대비 상담 건수 역시 9.3% 감소하였으나, ‘투자자문(컨설팅)‘, ‘침대‘의 증가율은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상담 전월 대비 25.8% 감소2019년 2월 소비자상담은 49,691건으로 전월(66,937건) 대비 25.8%(17,246건) 감소했고, 전년 동월(54,804건) 대비 3.1% 감소했다. 전년 동월 대비 ‘투자자문(컨설팅)’, ‘침대’ 상담 증가상담 증가율 상위 품목을 분석한 결과, 전년 동월 대비 '투자자문(컨설팅)'이 220.8%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침대'(94.5%), '미용서비스'(24.1%), '피부·체형관리서비스'(22.2%)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투자자문(컨설팅)'은 수익률 과장 광고에 따른 계약해지 요청을 거절하거나 과다한 위약금을 청구하는 내용의 상담이 주로 많았고, '침대'는 라돈이 검출된 침대의 수거 및 교환 지연 등의 문의가 많았다. 상담 다발 품목으로는 동절기 점퍼·재킷 등 '의류·섬유'가 2,571건으로 가장 많았고 '헬스장·휘트니스센터' 1,419건, '이동전화서비스' 1,365건 순으로 나타났다. 30대(30.7%), 여성(55.0%) 소비자 상담 많아연령대별로는 30대가 14,172건(30.7%)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12,363건(26.8%), 50대 8,482건(18.4%) 순이었으며, 여성 소비자의 상담이 55.0%(27,329건)로 남성 (45.0%, 22,362건) 대비 10.0%p 높았다. 상담사유로는 '품질·AS'(13,460건, 27.1%), '계약해제·위약금'(10,548건, 21.2%), '계약불이행'(6,940건, 14.0%)과 관련한 상담이 전체의 62.3%를 차지했고, 일반판매(26,243건, 52.8%)를 제외한 판매방법 중에서는 '국내전자상거래'(12,148건, 24.4%), '방문판매'(2,049건, 4.1%), '전화권유판매'(1,542건, 3.1%)의 비중이 높았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
|||||
다음글 |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2월 가격동향 | ||||
이전글 | 장애인의무고용제 관련 한국소비자원 규탄 기자회견에 대한 해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