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소비자뉴스

    보도자료

    소비자뉴스보도자료상세보기

    보도자료

    고령소비자 불만상담, 5년 전보다 17.9% 증가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고령소비자 불만상담, 5년 전보다 17.9% 증가
    등록일 2017-07-24 조회수 9683
    첨부파일

    이 자료는 즉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고령소비자 불만상담, 5년 전보다 17.9% 증가

    - 건강식품 관련 불만 감소, 이동전화서비스 및 치과 관련 불만 증가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고령소비자* 불만상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체 소비자 불만은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고령소비자의 불만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령소비자 :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상담을 접수한 소비자 중 연령이 60세 이상인 소비자

    고령소비자 불만 매년 3만 건 이상 접수, ‘16년에는 ‘12년 대비 17.9% 증가

    최근 5년간(2012년~2016년) 고령소비자 불만은 총 172,680건으로 매년 3만 건 이상 접수되었으며, 2012년 대비 2016년에 전체 소비자 불만은 4.1% 감소한 반면 같은 기간 고령소비자 불만은 17.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2012년~2016년) 고령소비자 불만은 총 172,680건으로 매년 3만 건 이상 접수됨 

    여성보다 남성의 불만이 더 많아

    다른 연령대의 경우, 여성의 불만이 남성보다 많았지만 고령소비자는 여성(40.0%)보다 남성(60.0%)의 불만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n=172,680).

    그러나 남성 고령소비자의 불만 비율은 2012년 61.5%에서 2016년 58.9%로 감소한 반면에 여성 고령소비자의 불만 비율은 2012년 38.5%에서 2016년 41.1%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른 연령대의 경우, 여성의 불만이 남성보다 많았지만 고령소비자는 여성(40.0%)보다 남성(60.0%)의 불만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이동전화서비스, 스마트폰·휴대폰 관련 불만 다발

    최근 5년간 고령소비자 불만 다발 품목은 스마트폰·휴대폰, 이동전화서비스, 건강식품, 상조서비스, 치과의 순이었다. 이 중 건강식품 관련 불만은 2013년 이후 감소한 반면 치과·이동전화서비스 관련 불만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동전화서비스 관련 불만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4년부터는 고령소비자 불만 중 가장 많은 품목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남성은 이동전화서비스 관련 불만이, 여성은 치과 관련 불만이 가장 많았다.

    건강식품 관련 불만은 2013년 이후 감소한 반면 치과·이동전화서비스 관련 불만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동전화서비스 관련 불만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4년부터는 고령소비자 불만 중 가장 많은 품목인 것으로 나타남. 

    고령소비자 불만 다발 지역은 서울, 대전, 광주 순

    2016년 기준 60세 이상 인구 천 명 당 소비자 불만이 가장 다발한 지역은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순이었다. 또한 서울특별시는 2012년부터는 고령소비자 불만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광주광역시·전라남도·제주도는 오히려 불만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판매 관련 불만은 감소, TV홈쇼핑·전자상거래는 증가 추세

    최근 5년간 고령소비자 불만이 가장 많은 특수거래유형은 방문판매였다. 하지만 방문판매 관련 불만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TV홈쇼핑 및 전자상거래 관련 불만은 5년 전 보다 7.1%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n=37,570).

    고령소비자 불만 인포맵 및 맞춤형 정보 제공

    한국소비자원은 광역시·도별로 고령소비자 불만 다발 품목 및 특수거래유형 등 고령소비자 빅데이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인포맵을 제작하여 한국소비자원 빅데이터 홈페이지(http://data.kca.go.kr)에 제공할 예정이며 고령자 등 취약계층 소비자의 권익 증진을 위해 정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등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소비자정보국 빅데이터분석팀
    오경임 팀장 (043-880-5781) / 이수환 대리 (043-880-5784)
    다음글 반려동물용 탈취제·물휴지에서 CMIT/MIT 등 검출
    이전글 해외여행자 증가에 비해 소비자불만 증가율 높아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