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소비자뉴스

    보도자료

    소비자뉴스보도자료상세보기

    보도자료

    어린이보호구역, 과속 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 높아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어린이보호구역, 과속 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 높아
    등록일 2017-07-11 조회수 13245
    첨부파일

    이 자료는 712()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7월 11일(화) 12시]

    어린이보호구역, 과속 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 높아

    - 교통안전시설 확충 및 관리감독 강화 필요 -

    최근 전반적인 어린이 교통사고뿐만 아니라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사고 발생건수* 역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 (’13년) 427건 → (’14년) 523건(22.5%↑) → (’15년) 541건(3.4%↑) (자료: 도로교통공단)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전국 43개 어린이보호구역*의 차량 운행 속도, 교통안전시설 설치 여부, 불법 주정차 여부 등을 조사한 결과,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15년 어린이 교통사고가 2건 이상 발생하거나 사망사고가 1건 이상 발생한 사고 다발 어린이보호구역(43개)

    조사대상 차량의 38.7%가 어린이보호구역 내 규정 속도 위반

    사고 다발 43개 어린이보호구역의 교통사고 발생 지점 68개소에서 차량 총 1,210대의 속도를 측정한 결과, 468대(38.7%)가 규정 속도(시속 30km)를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넓은 도로일수록 과속을 하는 추세를 보였는데 4차로에서는 73.1%, 5차로는 69.3%의 운전자가 제한 속도를 위반하였다.

    [ 도로별 규정 속도 위반 현황 ]
    법규위반 1차로 2차로 3차로 4차로 5차로 6차로 합계
    측정대수 (대) 70 540 100 320 140 40 1,210
    위반대수 (대) 1 94 32 234 97 10 468
    위반비율 (%) 1.4 17.4 32.0 73.1 69.3 25.0 38.7

    또한, 교통사고 발생 지점 68개소 중 37개소(54.4%)는 과속방지턱이 없거나 왕복차로 중 한 방향에만 설치되어 있었다. 과속방지턱이 설치된 도로는 제한 속도 위반 사례가 25.0%인데 반해, 미설치된 도로는 운전자의 59.0%가 제한 속도를 지키지 않고 있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방지턱 등 과속방지시설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호등, 단속카메라 등 교통안전시설 미설치로 안전관리 취약

    한편, 교통사고 발생 지점 및 주 출입문(학교 정문) 91개소의 교통안전시설 설치 실태를 조사한 결과, 교통사고 예방 효과가 있는 안전시설 설치가 전반적으로 미흡하였다.

    구체적으로 횡단보도가 없는 곳은 16개소(17.6%), 차량용 신호등(점멸등 포함)이 미설치된 곳은 45개소(49.4%), 보행자용 신호등이 미설치된 곳은 56개소(61.5%)였다. 보행자용 녹색신호시간은 어린이를 포함한 취약 계층의 평균 보행 속도(0.8m/s) 이내이어야 하나, 보행자용 신호등이 설치된 곳 중 4개소는 기준 시간보다 짧아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높았다.

    또한, CCTV가 미설치된 곳은 15개소(16.5%), 미끄럼방지 포장이 없는 곳은 19개소(20.9%)였다. 특히, 신호·과속 단속카메라는 87개소(95.6%)에서 설치되어 있지 않아 신호 위반 또는 과속 운행의 예방이 어려웠다.

    [ 교통안전시설 미설치 현황(조사대상 : 91개소) ]
    미설치 현황 횡단보도 차량용신호등 보행자용신호등 신호·과속단속카메라 CCTV 미끄럼방지
    미설치 (개소) 16 45 56 87 15 19
    비율 (%) 17.6 49.4 61.5 95.6 16.5 20.9
    불법 주정차 단속 강화 및 노상주차장 이전 또는 폐쇄 조치 필요

    조사대상 91개소 중 46개소(50.5%)에서 불법 주정차가 이뤄지고 있었고, 9개소(9.9%)에는 노상주차장이 운영되고 있었다. 불법 주정차 차량은 운전자의 시야를 좁게 해 횡단보도 내 어린이 교통사고를 유발할 위험이 높으므로 단속을 강화하고 노상주차장을 이전하거나 폐쇄할 필요가 있었다.

    ※ ?어린이·노인 및 장애인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구간별·시간대별로 차마의 통행 및 주정차를 금지할 수 있다. 또한 지정 시설의 주 출입문(학교 정문)과 직접 연결되는 도로에는 노상주차장을 설치할 수 없고 지정 이전에 운영되던 시설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폐쇄하거나 이전조치 해야 함.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 교통사고의 예방을 위해 관계 부처에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안전시설 확충 ▲제한 속도 위반 및 불법 주정차 차량에 대한 관리 감독 강화 ▲노상주차장 이전 등의 조치를 요청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안전감시국 생활안전팀
    김병법 팀 장 (043-880-5831) / 문지희 연구원 (043-880-5835)
    다음글 가스레인지 과열방지장치의 정상작동을 차단하는 센서캡 유통·판매 중지 권고
    이전글 2017년 6월 생필품 가격동향 분석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