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뉴스
보도자료
보도자료
| 소비자가 체감하는 금융서비스 시장의 소비자지향성,대부분의 평가항목에서 ‘보통’수준 보여 | |||||||||||||||||||
|---|---|---|---|---|---|---|---|---|---|---|---|---|---|---|---|---|---|---|---|
| 등록일 | 2017-04-06 | 조회수 | 10611 | ||||||||||||||||
| 첨부파일 | |||||||||||||||||||
|
이 자료는 4월 7일(금)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소비자가 체감하는 금융서비스 시장의 소비자지향성, 대부분의 평가항목에서‘보통’수준 보여- 2명중 1명, 개인정보유출 불안감 느끼고 있어 이에 대해 지속적 관리 필요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정부 소비자정책의 일환으로 금융서비스 시장의 소비자지향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종합점수 49.4점으로 ‘보통’ 수준에 접근하고는 있으나 지속적인 금융서비스 시장에서의 소비자지향성 강화 및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금융서비스 시장의 소비자지향성이란, 건전한 시장질서 확립을 통한 소비자 신뢰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금융소비자들의 합리적 선택이 이루어지는 시장의 추구를 말함. 평가항목별로는 ‘투명성’이 56.2점으로 가장 높았고, ‘개인정보관리’가 42.4점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금융서비스 시장별로는 ‘예·적금’이 50.3점으로 소비자지향성이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며, ‘신용카드’는 48.1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소비자지향성을 보였다.
금융소비자 5명중 1명, 개인정보유출 경험 있어금융소비자 5명중 1명(20.6%)꼴로 개인정보 유출의 경험이 있는 가운데 금융소비자 2명중 1명(56.1%)이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불안감을 보였다. 금융서비스 시장 중 가장 높은 개인정보 유출 경험률을 보인 시장은 신용카드’(37.8%)로, ‘해당시장에서 개인정보 유출 불안감을 느낀다’고 응답한 소비자는 65.0%에 달했다. 그러나 금융기관의 개인정보유출 여부 통보에 대해서는 10명중 1.3명(13.5%)만이 ‘통보받은 것으로 인지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금융소비자들의 이러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 안전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보완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4명중 1명은 금융상품 설명정보 이해하기 어려워한편, 금융소비자의 약 4명중 1명(25.2%)은 제공되는 설명정보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하였으며, 28.4%는 중요정보 접근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특히 ‘신용카드’와 ‘펀드’는 10명중 3명(각 30%, 29.4%)의 소비자가 ‘해당상품의 정보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소비자원은 금융기관들의 개인정보관리 안전성 확보 및 이해하기 쉬운 금융상품 정보제공 등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금융소비자도 스스로 상품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자기결정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향후 한국소비자원은 금융서비스 시장에서의 소비자지향성 강화를 위해 관련부처와 지속적으로 협의할 계획이다. 【 조사개요 】 o 평가시장 : 5개 금융서비스 시장(예·적금, 대출, 보험, 신용카드, 펀드) ※ 대출은 개인신용대출 및 주택담보대출로 한정 o 평가방법 : 최근 3년간 각 시장별 금융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의 소비자 총 2,500명(시장별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 실시 o 평가항목 : ①비교용이성 ②투명성 ③소비자문제 및 불만 ④선택가능성 ⑤전환성 ⑥개인정보관리 등 총 6개 부문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
|||||||||||||||||||
| 다음글 | 액체가 들어 있는 스마트폰케이스, 누액에 의한 화상 주의 | ||||||||||||||||||
| 이전글 | 치과 임플란트 분쟁, 10건 중 4건은 부작용으로 시술 중단 | ||||||||||||||||||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스마트컨슈머
한국어
독일어
말레이어
스페인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간체)
태국어
프랑스어
베트남어
필리핀어
캄보디아어
몽골어
우즈베크어
러시아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