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소비자뉴스

    보도자료

    소비자뉴스보도자료상세보기

    보도자료

    장기 사용 김치냉장고, 화재 발생 주의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장기 사용 김치냉장고, 화재 발생 주의
    등록일 2017-03-03 조회수 11517
    첨부파일

    이 자료는 즉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장기 사용 김치냉장고, 화재 발생 주의

    - 화재 예방을 위한 안전점검 필요 -

    장기간 사용한 김치냉장고에서 화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안전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최근 3년(2014~2016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등에 접수된 김치냉장고 화재사고 총 554건*을 분석한 결과, 2016년 발생건수는 233건으로 2014년 128건의 약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CISS 및 국민안전처 국가화재정보센터 건수 합계 : (’14년) 128건 → (’15년) 193건 → (’16년) 233건

    화재 대부분이 장기 사용한 노후 제품에서 발생

    김치냉장고 발화원인은 확인 가능한 사고건수(402건)의 대부분(78.6%, 316건)이 전기적 요인으로, 주로 장기간 사용시 발생하는 문제점과 관련됐다. 전기적 요인은 구체적으로 부품이나 전기배선 노후로 절연성능이 떨어지는 ‘절연열화 단락(합선)’이 28.8%(91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미확인 단락’ 24.1%(76건), 먼지나 습기가 차 전기가 통하는 ‘트래킹 단락’ 23.1%(73건) 등이었다.

    제품 사용기간은 ‘10년 이상’ 경과가 86.3%(기간이 확인된 314건 중 271건)로 주를 이뤘다. 한편 국내에 처음 김치냉장고를 보급해 가장 많은 노후제품 비중을 차지하는 ㈜대유위니아(舊위니아만도㈜)는 장기 사용 김치냉장고의 화재 예방을 위해 한국소비자원과 함께 안전점검 캠페인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는 2014년 ㈜대유위니아가 한국소비자원의 권고로 한차례 무상점검을 실시하였지만 조치대수가 36.7%(27만대중 약 9만9천대)에 그치고, 동 사 제품의 화재 발생은 2배(’14년 49건→’16년 109건)로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현재까지 상당수 노후제품이 아무런 점검 없이 화재 위험성이 내포된 채 사용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동 사는 점검 대상 제품*에 대해 내부청소와 부품교환 등의 무상점검을 실시하기로 하고, 이를 홈페이지·휴대폰 문자·케이블TV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적극 홍보하기로 했다. 또한 신규제품 설치 시 노후 제품 회수 및 노후 아파트 방문점검 등을 추가로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붙임2. ‘㈜대유위니아 김치냉장고 무상점검 대상 모델’ 참고

    해당 제품은 반드시 안전점검 받아야

    김치냉장고 등 전력을 사용하는 일부 가전제품은 오래될수록 부품이나 전기배선의 절연성능이 떨어지고 내부에 먼지가 쌓여 누전이나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에 제조사들은 자율적으로 표준사용조건의 권장 안전사용기간*을 표시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김치냉장고의 권장 안전사용기간은 7년이다.

    * 전기용품안전기준 K60335-2-24(6.0)에 따르면 장기간 사용 시 사고 위험성이 높아지는 전기용품에 대해 표준사용조건 하의 권장 안전사용기간을 제조자가 자발적으로 표시할 수 있음.

    또한, 김치냉장고 화재 관련 소송에서 소비자가 10년 넘게 장기간 사용하면서도 안전점검을 받은 적이 없는 점 등을 고려하여 제조사의 배상책임을 일부 제한한 최근 판례도 있는 바, 인명과 재산 피해를 막기 위한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대응도 필요하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김치냉장고 화재 피해 예방을 위해 ‘장기 사용 김치냉장고 안전주의보’를 발령하여 ㈜대유위니아의 점검 대상 모델을 보유한 소비자들은 반드시 안전점검을 받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김치냉장고를 설치할 때는 ▲습기와 먼지 발생이 많은 곳을 피하고, ▲제품과 벽면 사이 간격을 10cm 이상 띄우며, ▲전원선과 전원 플러그가 다른 물체에 눌리지 않게 주의하고, ▲누전 차단기 또는 접지단자가 있는 콘센트를 사용할 것 등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소비자 피해 사례
    절연열화에 의한 단락

    2014년 9월 채○○(남, 10대)는 자택에서 휴식 중 타는 냄새가 나서 119에 신고하였고, 조사 결과 13년된 김치냉장고의 부속품 전선 등이 노후되어 절연성능 저하로 단락(합선)되면서 주변 물체에 불이 붙어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됨.

    트래킹에 의한 단락

    2016년 7월 변○○(남, 50대)는 자는 중 타는 냄새를 맡고 일어나니 김치냉장고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을 목격하여 119에 신고하였으며, 조사 결과 14년된 김치냉장고 회로 기판에 쌓인 먼지와 장마철 습기로 인해 단락(합선)되는 트래킹 현상으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됨

    과부하/과전류

    2016년 11월 박○○(남, 60대)는 자택에서 휴식 중 거실에서 ‘펑’ 하는 소리와 함께 김치냉장고 뒤편에서 화염이 올라오는 것을 목격하였고, 소화기로 진화를 시도하다 대피하였으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감정결과 12년된 김치냉장고에서 과부하/과전류에 의해 전기적 발열?불꽃이 일어나 전선피복과 주변 물체 등에 불이 붙어 주택 내부로 화재가 확대된 것으로 조사됨.

    압착, 손상에 의한 단락

    2016년 12월 김○○(남, 30대)는 자는 중 타는 냄새를 맡고 일어나니 김치냉장고 뒤편에서 검은 연기와 화염이 보였으며, 119에 신고 후 조사 결과 13년된 김치냉장고 전원코드 전선이 주변 가재도구에 눌려 손상되어 전선피복에 불이 붙어 주변으로 화재가 확대된 것으로 조사됨.

    소비자 주의사항
    설치 전 주의사항

    습한 곳, 물 튀는 곳, 먼지 많은 곳에는 설치하지 않도록 합니다.

    제품을 설치할 때 벽면과 충분히 간격*을 띄웁니다.

    * 해당 제품의 사용설명서 참고(일반적인 권장 간격은 10cm 이상)

    설치할 때 주의사항

    전원선과 전원 플러그가 무리하게 구부러지거나 다른 물체에 눌리지 않도록 합니다.

    누전 차단기를 설치하고, 접지단자가 있는 콘센트를 사용합니다.

    사용할 때 주의사항

    제품에 연기가 나거나 타는 냄새가 나면 즉시 전원코드를 뽑아 작동을 중지시키고, 가까운 서비스센터에 문의합니다.

    관리할 때 주의사항

    장기간 사용*한 제품은 반드시 정기적으로 점검을 받습니다.

    * 일반적으로 김치냉장고의 권장 안전사용기간은 7년으로 표시하고 있음.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위해정보국 위해분석팀
    팀장 최난주 043-880-5421 / 대리 최재훈 043-880-5423
    다음글 일부 공공시설 장애인 통행 어렵고 안전사고 발생우려 있어
    이전글 디지털 음원서비스, 고객 유인 할인행사에 주의해야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