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소비자뉴스

    보도자료

    소비자뉴스보도자료상세보기

    보도자료

    정수기 렌탈서비스 만족도, 청호나이스(주)·코웨이(주)가 가장 높아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정수기 렌탈서비스 만족도, 청호나이스(주)·코웨이(주)가 가장 높아
    등록일 2017-02-14 조회수 23653
    첨부파일

    이 자료는 즉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정수기 렌탈서비스 만족도,
    청호나이스(주)·코웨이(주)가 가장 높아

    - 렌탈 이용 소비자는 정수기의 ‘위생·안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정수기 렌탈서비스 시장점유율 상위 4개 업체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종합만족도는 평균 3.46점이었으며, 청호나이스(주)코웨이(주)의만족도가 높았다.

    정수기 렌탈서비스 이용자 1,200명(업체별 각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렌탈관리 및 직원서비스’(3.60점)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서비스 호감도’(3.47점)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청호나이스(주)는 ‘렌탈관리 및 직원서비스’, ‘품질 및 비용’ 에서 상대적으로높은 평가를 받았고, 코웨이(주)는 ‘렌탈관리 및 직원서비스’에서, SK매직(주)(구, 동양매직)는 ‘서비스 호감도’ 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정수기 렌탈서비스 소비자 만족도]

    [단위: 점 / 5점 만점 기준]

    종합만족도 렌탈관리 및직원서비스* 품질 및비용** 서비스호감도
    청호나이스(주) 3.51 3.66 3.59 3.48
    코웨이(주) 3.51 3.66 3.51 3.50
    SK매직(주) 3.49 3.61 3.55 3.51
    쿠쿠전자(주) 3.33 3.47 3.40 3.38
    평균 3.46 3.60 3.51 3.47

    * 렌탈관리의 전문성, 신뢰성, 고객응대 등에 대한 평가

    ** 정수기 품질, 계약 및 렌탈비용, 정보제공 서비스에 대한 평가

    한편, 정수기 렌탈서비스를 이용할 때 가장 중요한 점으로는 69.4%(833명)가 ‘위생·안전’을 꼽았으며, 다음으로 ‘제품 성능’ (18.7%, 225명), ‘렌탈비용’(6.7%, 80명) 순이었다.

    또한 우려하는 사항으로는 ‘유해성분’ (57.8%, 693명)이 가장 많았고, ‘이물질(34.5%, 414명), ’전기료 등 기타‘(7.7%, 93명) 순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이 정수기 안전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중요한 점 : 위생·안전 69.4%, 가장 우려하는 점: 유해성분 57.8%

    한국소비자원은 사업자 간담회를 통해 이번 조사결과를 공유하고, ‘품질 및 비용’ 만족도 제고위생·안전 전반에 걸친 서비스 품질 개선을 권고하였다.

    사업자들은 소비자들이 계약할 때 내용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안내를 충분히 하고, 중도해지 시 위약금 부과 관련 내부 직원들의 교육과 관리를 강화하여 소비자들이 위약금 등을 부당하게 지급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하였다. 또한, 정수기 사업자협의체*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서비스 및 품질 개선 대책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 2016년 12월 한국소비자원이 청호나이스(주), 코웨이(주) 등 정수기 렌탈서비스를 제공하는 10개 업체와 합동으로 「정수기 사업자 자율안전규약」을 제정하여 정수기업체 전반의 위생관리 및 서비스를 개선하기로 함.

     

    【 조사개요 】

    o 조사대상 : 청호나이스(주), 코웨이(주), 쿠쿠전자(주), SK매직(주) (가나다 순)

    * 동양매직 → SK매직(주) 변경(’16.11.)

    o 설문조사 : 조사실시 전 최근 6개월 이상 정수기 렌탈서비스 이용자 1,200명(업체별 각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16.10.21.∼10.31.)

    o 분석개요 : 5점 리커트 척도,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2.8%p, 종합만족도는 부문별 가중평균 적용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소비자정보국 서비스비교팀
    팀장 마미영 TEL. 043-880-5721 / 대리 이은경 TEL. 043-880-5723
    다음글 입주민 부담 경감 위해 아파트 관리비 지출항목 점검 필요
    이전글 외식ㆍ배달음식의 이물 혼입 빈도가 가장 높아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