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소비자뉴스

    보도자료

    소비자뉴스보도자료상세보기

    보도자료

    암 오진 중 폐암 오진 피해 가장 많아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암 오진 중 폐암 오진 피해 가장 많아
    등록일 2015-04-09 조회수 12504
    첨부파일

    암 오진 중 폐암 오진 피해 가장 많아

    - 건강검진 오진 피해도 26.4% -

    이 자료는 4월 10일(금)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4월 9일 12시)

     

     100세 시대를 맞아 건강한 삶을 위해 암에 대한 조기진단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진료나 건강검진 시 적기에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잘못된 진단을 하는 암 오진 피해가 지속되고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5년 2월까지 접수된 오진 관련 피해구제 건수는 480건이며 이 중 암 오진 피해가 296건(61.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 

              ※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오진 관련 소비자 상담 건수는 2012년 859건, 2013년

                  1209건, 2014년 1479건, 2015년 1월~2월 213건으로 매년 증가

                  * 1372 소비자상담센터(www.ccn.go.kr) : 10개 소비자단체, 16개 광역시도 지방자치단체,

                         한국소비자원이 참여하는 전국 단위의 통합상담처리시스템

     

     피해 296건 중 ‘진료’ 과정에서 오진 피해를 본 경우는 218건(73.6%)으로 ‘건강검진’ 등 검사과정(78건, 26.4%) 보다 많았다.

     

     피해자 연령별 건수를 보면 ‘50대’가 108건(36.5%)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40대’ 55건(18.6%), ‘60대’ 39건(13.2%), ‘30대’ 32건(10.8%) 등의 순이었으며 ‘남성’이 166건(56.1%)으로 여성(130건, 43.9%) 보다 많았다.

     

     진료과목별로는 ‘내과’의 오진이 135건(45.6%)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외과’ 43건(14.5%), ‘산부인과’ 29건(9.8%)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별로는 ‘병원(종합병원)’에서 114건(38.5%)으로 가장 많은 피해가 발생했고, ‘의원’ 110건(37.2%), ‘상급종합병원’ 72건(24.3%) 순이었다.

    2  

      ‘폐암’ 오진이 60건(20.3%)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유방암(48건, 16.2%)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소화기계 암으로, ‘상부위장관’이 39건(13.2%), ‘간담도췌장’이 36건(12.2%), ‘하부위장관’ 오진이 25건(8.4%)이었다.

     

     특히 ‘폐암’의 경우, 단순 방사선검사에서 이상소견이 보이면 확진을 위해 CT촬영이 필요하다. 하지만 초기 방사선 판독의 오류로 적기에 치료받을 기회를 상실하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러한 오진 피해에 대해 병원의 과실이 인정돼 ‘배상’이 이루어진 경우는 181건(61.1%)으로 나타났으며 간암 진단 지연에 대한 책임으로 지급된 1억6천6백만 원이 최고 배상액이다. 병원의 과실을 묻기 어려운(무과실) 경우도 39건(13.2%)으로 확인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암 오진 피해를 예방하려면 ▲ 국가 암검진 프로그램 따라 반드시 건강검진을 받아야 하며 ▲ 검진 또는 진료 전 자신의 병력 및 증상에 대해 의사에게 상세히 고지하고 ▲ 결과를 꼼꼼히 확인한 후 이상 징후가 있는 경우 반드시 추가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Korea Consumer Agency

    보 충
    취 재

    피해구제국 의료금융팀 김경례 팀 장 (☎043-880-5791)

                                         윤현주 대 리 (☎043-880-5797)

     

    다음글 주택수리 및 인테리어, 서비스 시장 중 소비자 평가 가장 낮아
    이전글 1월 대비 낙농·축산가공품, 채소 판매가격 상승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