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소비자뉴스

    보도자료

    소비자뉴스보도자료상세보기

    보도자료

    브랜드 쌀, 품질 등급 표시 ‘미검사’ 많아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브랜드 쌀, 품질 등급 표시 ‘미검사’ 많아
    등록일 2014-02-11 조회수 13922
    첨부파일

    브랜드 쌀, 품질 등급 표시 '미검사' 많아


    - 등급 표시율을 높이고, 소비자는 표시사항 꼼꼼히 확인해야 -
    이 자료는 2월 12일(화)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2월 11일 12시)

    최근 국내에서 생산되는 쌀이 다양한 브랜드로 출시되고 있으나, 쌀의 품질을 판단할 수 있는 검사에 의한 ‘등급’ 표시율이 낮아 선택정보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이 수도권에서 판매되는 브랜드 쌀 92종의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품질 등급을 ‘미검사’로 표시한 제품이 71.7%로 나타나 소비자가 품질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접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양곡관리법 시행규칙」에 의하면, 쌀의 등급표시는 특·상·보통 등급으로 표시하되, 등급검사를 하지 않은 경우는 ‘미검사’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어 사실상 등급표시제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농림축산식품부는 2013.10. 5개 등급(1등급∼5등급)을 3개 등급(특 상 보통)으로 표시하도록 「양곡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함.

    실제로 최근 3년 이내 브랜드 쌀을 구입한 소비자(434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쌀 구입 시 가장 많이 고려하는 사항은 ‘생산년도’(3.13점, 4점 척도)였고, 다음으로 ‘도정연월일’(3.00점), ‘구입가격’(2.88점) 순이었다. ‘품질 등급’(2.43점)에 대한 고려정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미검사’ 표시가 많아 소비자 선택정보로서의 활용도가 낮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쌀 구입 시 주요 고려 사항. 자세한 내용은 다음 참조

    한편 쌀의 품질과 관련하여 불만을 경험한 소비자는 13.8%(60명)였다. ‘구입한지 얼마 되지 않았으나 오래 묵은쌀 느낌이 난다’(66.7%)는 불만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밥의 질감이나 맛이 이상함’(36.7%), ‘벌레가 생김’(23.3%), ‘싸라기 쌀이 다수 포함’(15.0%) 등으로 나타났다(중복응답).

    또한 소비자들은 브랜드 쌀을 주로 대형마트에서 구입하고 있으며, 경기도 산을 선호하고, 중량은 20kg 제품을 많이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브랜드 쌀의 품질 등급 표시비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관련 부처에 건의하였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쌀을 구입할 때 포장의 표시사항을 꼼꼼히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Korea Consumer Agency 보 충
    취 재
    시장조사국 거래조사팀 배윤성 팀 장 (☎3460-3301)
    김선희 차 장 (☎3460-3253)

    다음글 돌잔치, 일단 계약하면 2개월 전에도 해약하기 어려워
    이전글 국내 기업, 소비자의 부정적 인식을 우려해 리콜에 소극적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