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서비스가 세대를 불문하고 보편화되면서 관련 피해를 겪는 고령 소비자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 대구지원은 2012년 7월부터 2013년 6월까지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대구·경북 지역 60세 이상 고령 소비자들의 상담사례를 분석했다.
전체 2,180건 중 정보통신서비스에 대한 불만상담이 247건(11.3%)으로 가장 많았고 관련 품목인 정보통신기기도 156건(7.2%)으로 나타났다. 과거 젊은 계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이동전화나 초고속인터넷 등을 이용하는 고령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피해도 늘고 있다.
또한 식료품 및 기호품 관련 불만상담이 222건(10.2%) 접수되었는데, 이중에는 고령 소비자의 관심도가 높은 건강식품이 144건으로 약 65%를 차지했다. 이 밖에 상담 다발 품목 중에는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의료서비스 116건(5.3%), 보건․위생용품 115건(5.3%) 등이 포함되었다.

불만 유형 중에는 사업자의 계약해제 및 청약철회 거부, 계약내용 불이행 등 ‘계약’ 관련 불만이 494건(22.7%)으로 가장 많았다. 따라서 고령 소비자들은 계약 시 인정 등 감정에 치우치지 말고 계약해제 관련 조항을 비롯해 계약 내용을 꼼꼼히 살펴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불만을 초래한 거래유형 중 특수판매 548건을 분석한 결과, 방문판매가 143건(26.1%)으로 가장 많았고, 통신판매 123건(22.4%), 전화권유판매 120건(21.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악덕 사업자들이 방문‧전화권유 판매 등을 통해 홍보관, 신분사칭, 당첨상술 등으로 고령 소비자를 현혹시키는 피해사례가 빈번하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한국소비자원 대구지원은 고령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업자가 구두로 약속한 내용은 계약서에 반드시 기재한 후 계약서를 받아두며 ▴무료체험 등의 상술에 현혹되지 말고 ▴소비자피해가 발생하면 1372소비자상담센터(국번없이 1372)에 도움을 요청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대구지원은 하반기에 경북도청과 공동으로 “고령 소비자 피해예방 교육” 피해예방 리플릿 배포 등 지역사회 고령 소비자의 권익증진을 위한 활동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 첨부: 1. 보도자료(대구·경북지역 고령 소비자, 정보통신 관련 피해 많아) 1부. 끝.
 |
보 충
취 재 |
대외협력실 대구지원 이상식 지원장 (☎053-260-5300) |
대외협력실 대구지원 박향연 조정관 (☎053-260-5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