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청‧세종지역 소비자, 휴대폰 관련 소비자불만 가장 많아
- 보험 상담, 전년 동기 대비 57.9% 증가 -
|
|
이 자료는 9월 4일(수)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9월 3일 12시) |
한국소비자원(www.kca.go.kr) 대전지원이 2013년 상반기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대전·충청·세종지역 소비자상담 사례를 분석한 결과, 총 39,125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만 상담이 많았던 품목군을 보면, 점퍼·자켓·사파리 같은 간편복이나 신발 등 ‘의류·섬유·신변용품’이 5,272건(13.5%)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초고속인터넷, 이동전화서비스 등 ‘정보통신서비스’ 4,823건(12.3%), 휴대폰 등 ‘정보통신기기’ 2,909건(7.4%)순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품목군은 ‘보험’으로 무려 57.9%나 증가했다. 이어 ‘운수·보관·관리서비스’ 44.5%, ‘정보통신서비스’ 31.1%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개별 품목으로는 스마트폰을 포함해 ‘휴대폰’이 2,166건(5.5%)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신발&용품’ 927건(2.4%), ‘이동전화서비스’ 903건(2.3%), ‘택배화물운송서비스’ 822건(2.1%) 등의 순이었다.
청구이유별로는 ‘단순문의·상담’이 9,500건(24.3%)으로 가장 많고, 이어 계약해제·해지, 청약철회, 계약불이행 등 ‘계약 관련’ 9,041건(23.1%), ‘품질·AS’ 7,984건(20.4%), ‘부당행위’ 5,275건(13.5%) 순으로 나타났다.
판매방법별로 구분해 보면, ‘일반판매’ 관련한 불만상담이 27,204건(69.5%)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특수판매’는 11,914건(30.5%)이며, 이 중 ‘전자상거래’가 5,007건(42.0%)으로 가장 많고, 이어 ‘노상·방문판매’ 2,971건(24.9%), ‘전화권유판매’ 1,376건(11.5%)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상담건 중 상술유형이 확인된 814건을 분석해보니, 보건소, 가스안전공사 등 공공기관 직원임을 사칭하여 물품을 판매하는 ‘신분사칭 상술’이 149건(18.3%)으로 가장 많았다. 이 외에도 전화상으로 사은품 추첨이나 이벤트에 당첨되었다며 상품을 판매하는 ‘전화당첨 상술’ 138건(17.0%), 부업으로 돈을 벌 수 있다며 소비자를 유인한 후 물품을 판매하는 ‘부업상술’ 127건(15.6%), 장래에 값이 오른다며 골프장, 콘도회원권을 판매하는 ‘회원권 상술’ 113건(13.9%), 홍보관을 설치한 후 고령 소비자들에게 건강식품 등을 판매하는 홍보관 상술 101건(15.3%) 등 다양해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 대전지원은 사업자와의 분쟁이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계약 시 ▲계약내용 및 교환·환급 조건 등을 꼼꼼히 확인하고, ▲특약내용은 구두로만 약정하지 말고 계약서에 기재하여 보관하며, ▲청약철회(방문판매 14일, 전자상거래 7일)나 계약해지는 내용증명우편으로 통보하여 철회·해지일자, 이용기간 등을 명확히 해두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 첨부: 보도자료(2013년 상반기 대전 충청 세종지역 소비자 상담분석) 1부. 끝.
 |
보 충
취 재 |
대외협력실 대전지원 지원장 김정호 (☎042-485-3751) |
대외협력실 대전지원 차 장 우상균 (☎042-485-375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