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소비자보호원(원장 許 陞)은 인터넷이나 PC통신을 통해 누구나 쉽게 복사하여 즐길 수 있는 MP3 음악파일이 신세대 네티즌들로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있어 금년 2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MP3 플레이어 14개 업체 14종 28점을 구입, 시험하여 상품선택정보로 발표하였다.
MP3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MP3 플레이어는 우리 나라가 세계 최초로 개발, 기존의 일명 「워크맨」을 대체하는 제품으로 보급이 늘고 있는 신상품이다.
MP3 플레이어는 원하는 곡만을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웬만한 진동이나 충격에 지장을 받지 않고 CD에 버금가는 음질의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CD플레이어와는 달리 음악을 자유롭게 추가·삭제할 수도 있다.
제조업체를 기준으로 14업체에 대한 시험결과 성능은 제품간에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대부분 제품의 음질수준은 CD플레이어와 유사한 수준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구조 및 사용상 편리성, 부가기능 등 제품별로 차이가 있어 제품 구입 시에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한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험내용 요약]
1. 대상 제품 : 14업체 14종 28점
|
제조 업체명 |
모델명 |
상표명 |
기본메모리 [MB] |
시료수 |
구입가격 (원) |
|
건잠머리컴퓨터 |
EX-MP |
esounds |
32 |
각 2개 |
190,000 |
|
다이아몬드
멀티미디어 시스템 |
PMP300 |
Rio |
32 |
188,000 |
|
대영코퍼레이션 |
- |
Mpress3 |
32 |
198,000 |
|
디지탈웨이 |
MPIO-32SV |
mpio |
32 |
188,000 |
|
메이콤 |
MP-100 |
Merit |
16 |
165,000 |
|
삼성전자 |
YP-D40 |
yepp |
32(추가8) |
264,000 |
|
새한정보시스템 |
MP-F30 |
mp man |
64 |
300,000 |
|
아이젠전기 |
DAP PRO 64 |
DAP |
64 |
320,000 |
|
에이맥 정보통신 |
HAN-31XB |
Hansori |
32 |
165,000 |
|
LG전자 |
MF-PD330S |
MP free |
32 |
189,000 |
|
유니텍전자 |
UP-301 |
Rome |
32 |
190,000 |
|
정명텔레콤 |
JMP P32 |
eon |
32 |
176,000 |
|
파인랩 코리아 |
SM-320V |
mydio |
32 |
199,000 |
|
한고전자 |
HG-300FM |
Mpride |
32 |
180,000 |
2. 시험기간 : 2000. 2 ∼ 2000. 7
3. 주요 시험항목별 결과
가. 구조
● 사용상 특별한 문제가 발견된 제품은 없음.
나. 성능
● 주파수특성 : LG전자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수준.
● 의율(음의 찌그러짐) : 메이콤 제품을 제외한 전 제품 대체로 평균 이상.
● 스테레오 분리도 : 32∼65㏈로 제품간 차이가 큰 편임.
● 소비전류 : 파인랩코리아 제품이 상대적으로 전류소비가 많음.
● 파일전송속도 : 다이아몬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수준.
● 라디오 수신성능 : 삼성전자 제품은 방송수신성능 미흡.
다. 사용상 편리성 및 보유기능
● 유니텍전자, 에이맥 정보통신 제품은 메모리 확장 불가능.
● 삼성전자, 새한정보시스템 제품은 한글 표시 기능 지원
● 리모콘 기능 지원 : LG전자 제품
MP3 플레이어 시험 결과
휴대용 음악 재생장치로 주류를 이루던 카세트라디오가 점차 MP3 플레이어에게 자리를 내 주고 있다. MP3 플레이어는 원하는 곡만을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웬만한 진동이나 충격에 지장을 받지 않고 CD에 버금가는 음질의 음악을 들을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CD플레이어와는 달리 음악을 자유롭게 추가·삭제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의 하나다. 소비자보호원에서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휴대용 MP3 Player 14개 업체의 제품을 구입하여 성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전반적으로 구조는 잘 되어 있어」
제품의 조립상태, 끝마무리 등의 기본적인 사항을 알아 본 결과 대체로 특별한 문제가 발견되지는 않았다. 다만, 정명텔레콤 제품은 33개 이상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2개 이상의 파일을 삭제할 때 에러가 발생하였으며, 한고전자 제품도 28개 이상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때 에러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업체는 소프트웨어 설계상의 문제로서 앞으로 출시될 제품은 이런 점을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 제품의 성능
LG전자 제품은 높은 음과 낮은 음을 고르게 재생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의 범위인 가청주파수는 1초에 20번 진동하는 음부터 1초에 2만 번 진동하는 음(20㎐~20㎑)까지이다. 물론 모든 사람이 가청주파수 대역의 음을 다 들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낮은 음은 잘 듣지만, 높은 음은 잘 듣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이처럼 사람에 따라 들을 수 있는 음의 범위가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가청주파수대역의 음을 고르게 잘 재생시켜 준다면 모든 사람에게 다 적용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시험결과를 보면, 업체별로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대부분은 낮은 주파수보다는 높은 주파수의 음이 잘 재생되는 특성을 보였다. 시험대상제품 중 LG전자 제품은 20㎐∼20㎑ 사이의 전체 대역을 고르게 재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건잠머리컴퓨터, 삼성전자, 정명텔레콤, 한고전자 등의 제품들도 우수한 수준을 나타냈다.
원음에 없는 잡음이 섞여있지 않은가?
작은 신호를 우리 귀로 듣기까지에는 많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원래의 음 이외에 다른 신호가 섞이게 되면 소리가 찌그러져 들리거나 하게 된다. 이러한 정도를 의율이라고 표현하는데, 의율이 작을수록 원음에 가까운 상태로 재생한다고 말할 수 있다. 400Hz, 1kHz, 2.5kHz의 3개 주파수에 대한 평균 의율은 메이콤 제품이 2%대로 큰 수준이어서 개선이 필요했는데, 해당업체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의율 0.1% 이하로 우수했던 제품은 건잠머리컴퓨터, 디지탈웨이, 아이젠전기, LG전자 등이었다. 나머지 제품들은 0.1∼0.7% 범위였다.
작은 음과 큰 음의 재생범위는
얼마나 작은 음부터 큰 음까지 재생할 수 있는지를 다이내믹 레인지라고 한다. 테이프에 녹음된 음악을 재생시키면 테이프와 헤드의 마찰, 모터의 진동음 등의 원인으로 재생할 수 있는 음의 크기는 일정 수준이하로 제한을 받게된다. 이에 비해 CD 플레이어나 MP3 플레이어와 같은 비접촉식 디지털 매체는 이러한 제한이 없어 상대적으로 큰 다이내믹 레인지를 가질 수 있다. 시험결과 대체로 80∼90㏈ 수준으로 모두 우수한 수준이었지만, 메이콤 제품은 70㏈ 이하로 나타나 낮은 평가를 받았기는 했지만 실용상 문제가 있는 수준은 아니다.
제품간의 스테레오 분리도 차이는 크지만, 실용상 문제는 없어
오른쪽과 왼쪽 신호를 정확하게 분리해 주어야 음악을 현장감 있게 들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좌·우 밸런스를 조절기능을 채택하지 않고 있는 MP3 플레이어에서는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시험결과 최저 32㏈에서 최고65㏈로 제품간의 차이가 상당히 큰 편이었지만 실용상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어폰으로 재생할 수 있는 최대음압은 매우 큰 수준이므로 주의 필요
이어폰으로 음악이나 어학테이프를 지나치게 크게 들으면 청각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잔디 깎는 기계의 엔진소리 정도인 90㏈의 음향을 8시간 동안 계속 들으면 일시적인 청력장애가 일어나고, 100㏈의 소리를 2시간 이상 들으면 심각한 청력장애가 나타난다고 한다. 시험대상제품들은 모두 이어폰을 사용하는 구조로서, 실용적으로 이어폰을 통해 들을 수 있는 최대음압을 측정해 본 결과 대체로 110~130㏈의 범위로 상당히 큰 수준이다. 따라서 사용하는 사람이 적당한 수준으로 조절하지 않으면 자칫 청력장애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일부에서는 카세트플레이어 등의 최대음압을 일정수준 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녹음된 음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아 현실적으로 지켜지기는 어렵다. 결국 사용자가 적당한 크기 이하로 조절하여야 하는데, 이어폰으로 음악을 들으면서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정도가 적당한 수준이라는 생각이다.
전지를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은
휴대용 제품의 가장 큰 문제는 아무래도 전지사용시간일 것이다. 전지를 오래 사용하려면 큰 전지를 사용하여야 하지만, 크기가 커지고 무게도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결국 전지를 조금만 사용하고도 원하는 기능과 성능을 발휘하는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각 제품의 전지 소모량을 알아보기 위해 동일한 크기의 음으로 음악을 들을 때 소비되는 전류를 측정해 보았다. 그러나 제품에 따라 전지 사용개수가 다르므로 비교를 위해 측정결과는 전압과 전류를 곱한 소비전력으로 환산하였다. 즉, 전지 두 개를 사용하는 제품은 한 개를 사용하는 제품에 비해 소비전류가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한편 삼성전자와 유니텍전자 제품 같이 전용의 충전용전지를 제공하는 경우는 통상 1일 사용시간을 만족한다면 특별히 전지 사용시간이나 소비전력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평가기준을 달리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시험결과 파인랩 코리아, 메이콤, LG전자 순서로 전지 소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파일을 전송 받는데 걸리는 시간은
MP3 플레이어는 플래시메모리 또는 메모리카드를 사용하므로 언제든지 원하는 음악을 저장시키거나 지울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최근에 CD나 카세트테이프의 음악을 플레이어가 직접 MP3 파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제품이 발표되기는 했지만 아직은 파일변환 또는 내려 받기 등은 PC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PC에 저장된 음악을 MP3 플레이어로 내려 받는 시간도 선택의 한 요소가 된다. 평가는 음악 4곡 정도에 해당하는 용량인 약 15MB를 PC로부터 내려 받는 시간으로 하였는데, 다이아몬드 멀티미디어 제품이 88초 정도로 가장 빠른데 비해 유니텍전자 제품은 5분 정도로 매우 늦었다.(각 제품별 전송속도는 그림 참고). 단, 파일을 내려 받는 시간은 제품 자체의 특성보다는 주로 프로그램에 의존하게 된다. 즉, 동일한 업체의 동일 모델이라 하더라도 업그레이드된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전송속도는 빨라질 수 있다. 실제 이번 시험결과 가장 전송속도가 늦었던 유니텍전자 제품의 후속모델 전송속도는 약 3∼4배정도 빨라진 것으로 밝히고 있다. 따라서 MP3 플레이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주기적으로 해당 제조업체에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겠다.

FM라디오 수신기능이 있는 제품 : 삼성전자, 메이콤
시험대상 제품 중 플레이어 중 삼성전자(YP-D40)와 메이콤(MP-100)의 두 개 제품은 FM방송 수신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삼성전자 제품은 전반적으로 수신감도가 좋지 않아 실용상 문제가 있었는데, 특히 높은 주파수 대역의 수신이 원활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MP3 플레이어에 FM 수신기능을 추가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이후 생산된 제품은 리모콘 부착형 라디오 기능으로 이러한 문제를 개선했다고 알려왔다. 한편 메이콤 제품의 수신감도는 중형의 카세트 라디오보다는 약간 떨어지는 수준이었다.
□ 각 제품의 보유기능
각 제품별로 보유기능은 주로 기존의 CDP 기능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여기서는 주로 유용한 기능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 원하는 음악을 반복해서 들을 수 있는가
1곡 또는 전체 곡, 원하는 소절과 같이 임의구간을 반복해서 들을 수 있는 기능으로 이를 잘 활용하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곡 탐색 기능 및 빨리 가기
곡 탐색기능은 저장되어 있는 노래의 처음 부분을 일정시간(약10초)동안만 들려주는 이른바 "곡 소개" 기능으로 플레이어로 노래를 처음 들을 때 사용하면 곡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빨리 가기 기능은 노래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좋아하거나 혹은 듣고 싶은 부분을 빨리 찾을 때 용이하게 사용하는 기능이다.
● 이퀄라이저 기능
같은 노래를 클래식, 팝송, 록, 재즈, 디스코 등의 형태로 변환시켜 듣는다면 그 느낌은 아마 색다를 것이다. 대부분 제품이 이런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 음성녹음 기능
음성녹음과 삭제를 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한 제품도 있었는데, 필요에 따라 녹음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므로 학교나 학원 강의 또는 인터뷰나 회의장에서 이 기능을 잘 활용하면 편리할 것이다.
● 리모콘 사용기능
MP3 플레이어는 기본적으로 이어폰(또는 헤드폰)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어폰 연결선에 리모콘 기능을 추가하여 모든 기능을 리모콘으로 할 수 있다면 그 만큼 사용하기가 편할 것이다. 시험 대상 제품 중 LG전자 제품이 이에 해당된다.
● 한글 표시기능
LCD에는 배터리 남은 량 표시, 현재 진행중인 곡의 번호, 볼륨 상태, 곡명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LCD에 표시되는 각 기능의 내용 중 한글 표기가 가능한 제품이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삼성전자와 새한정보시스템 제품은 한글과 영어로 곡명 표시를 하고 있었다.
● 카세트테이프처럼 생긴 제품
유니텍전자 제품은 카세트테이프처럼 생긴 구조로 독립적인 사용은 물론 일반 카세트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 기타 기능
제품에 따라서는 FM라디오 청취, 전화번호저장 또는 메모를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도 있었으며, 디지털 카메라 모듈이 부착되어 별도로 카메라를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
<보유기능> |
|
구분
제조업체명 |
반복듣기 |
탐색 |
EQ |
빨리가기 |
음성녹음 |
삭제 |
LCD한글곡명표시 |
기 타 |
|
1곡 |
전체 |
임의구간 |
|
건잠머리컴퓨터 |
○ |
○ |
○ |
|
○ |
○ |
|
|
|
|
|
다이아몬드 |
○ |
○ |
○ |
○ |
○ |
○ |
|
|
|
|
|
대영코퍼레이션 |
○ |
○ |
|
|
○ |
○ |
○ |
○ |
|
|
|
디지탈웨이 |
○ |
○ |
○ |
|
○ |
○ |
○ |
○ |
|
전화번호저장,디지탈카메라모듈부착 |
|
메이콤 |
○ |
○ |
○ |
○ |
|
|
|
|
|
FM라디오 |
|
삼성전자 |
○ |
○ |
|
|
○ |
○ |
○ |
○ |
○ |
FM라디오
충전기 사용 |
|
새한정보시스템 |
○ |
○ |
|
|
○ |
○ |
○ |
○ |
○ |
전화번호저장,
메모, 외부전원 |
|
아이젠전기 |
○ |
○ |
|
|
|
○ |
|
|
|
|
|
에이맥 정보통신 |
○ |
○ |
|
○ |
○ |
|
|
|
|
|
|
LG전자 |
○ |
|
|
○ |
|
|
|
|
|
리모콘, 북마크기능 |
|
유니텍전자 |
○ |
○ |
○ |
○ |
○ |
○ |
|
|
|
충전기 사용 |
|
정명텔레콤 |
○ |
○ |
○ |
○ |
|
○ |
|
|
|
외부전원 |
|
파인랩 코리아 |
○ |
○ |
○ |
|
○ |
○ |
○ |
○ |
|
|
|
한고전자 |
○ |
○ |
|
|
○ |
|
○ |
|
|
|
● 메모리 확장의 편리성
음악 종류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대체로 일반 팝 음악을 MP3 파일로 변환시키면 연주시간 1분당 약 1MB 전후의 메모리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1시간 정도의 음악을 즐기려면 60MB 이상의 메모리가 필요하지만 시판중인 제품들의 기본메모리는 대부분 32MB 정도여서 확장이 필요할 것이다. 제품 방식에 따라 메모리 확장의 편리성 및 비용 등에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확장 비용은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메모리 확장은 보통 스마트미디어카드(SMC)나 멀티미디어카드(MMC)를 이용하고 있다. (각 제품별 메모리 확장 등에 관한 내용은 표 참고)
그러나 내장메모리 없이 외부메모리(MMC)를 이용하는 방식의 LG전자(슬롯 2개) 및 메이콤(슬롯 1개) 제품과, 외부메모리 없이 오직 내장메모리만을 사용하는 방식의 유니텍전자 및 에이맥정보통신 제품이 다른 제품과 구별된다.
|
<메모리 확장성> |
|
구분 제조업체명 |
내장 메모리
[MB] |
확장 메모리 |
확장 슬롯 [개] |
메모리 활용 |
|
형태 |
기본제공용 량 [MB] |
판매되는 메모리용량 [MB] |
|
8 |
16 |
32 |
|
대영 코퍼레이션 |
32 |
SMC |
- |
- |
○ |
○ |
1 |
○ |
|
디지탈웨이 |
32 |
SMC |
- |
○ |
○ |
○ |
1 |
○ |
|
건잠머리컴퓨터 |
32 |
SMC |
- |
- |
○ |
○ |
1 |
○ |
|
파인랩코리아 |
32 |
SMC |
- |
○ |
○ |
○ |
1 |
○ |
|
다이아몬드 |
32 |
SMC |
- |
○ |
○ |
- |
1 |
- |
|
정명텔레콤 |
32 |
SMC |
- |
○ |
○ |
○ |
1 |
- |
|
삼성전자 |
32 |
SMC |
8 |
○ |
○ |
○ |
1 |
○ |
|
아이젠전기 |
64 |
SMC |
- |
- |
○ |
○ |
1 |
○ |
|
새한정보시스템 |
64 |
전용
(비호환) |
- |
- |
- |
○ |
1 |
○ |
|
LG전자 |
- |
MMC |
- |
○ |
○ |
○ |
2 |
○ |
|
한고전자㈜ |
32 |
MMC |
- |
○ |
○ |
○ |
1 |
- |
|
메이콤 |
- |
MMC |
- |
○ |
○ |
○ |
1 |
○ |
|
유니텍전자 |
32 |
확장 불가능 |
없음 |
○ |
|
에이맥 정보통신 |
32 |
확장 불가능 |
없음 |
○ |
한편 MP3 플레이어는 주로 음악을 듣기 위해 사용하지만 대부분의 제품이 PC에서 작업한 한글문서나 기타 데이터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등 휴대용 저장 매체로서도 활용이 가능했다. 물론 저장매체로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작업하려는 PC에 관련 프로그램이 설치돼 있어야 하며, PC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 케이블을 항상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은 감수해야 한다.
● MP3란?
MP3는 MPEG규격의 오디오 압축방식의 하나이다. 원래의 음성신호를 MPEG AUDIO LAYER-3 압축기술을 이용하여 1:10∼1:12로 압축시킨 것이다. 비록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주파수대의 신호를 삭제하는 손실 압축방식이지만 거의 CD 수준의 음질을 유지한다.
● MP3 Player?
MP3 파일을 PC 없이 재생해 주는 휴대형 장치이다. MP3 음악 재생은 물론 전자수첩, 음성 녹음 등 여러 가지 부가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MP3 활용 방법
현재 MP3 음악을 즐길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은 컴퓨터에 MP3을 재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전용 MP3 플레이어를 사용해야만 한다. MP3 음악파일은 인터넷, PC통신 등 온라인을 통하여 유료 또는 무료로 내려 받거나, 테이프 또는 CD에 수록된 음악을 MP3 파일로 변환해 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변환 프로그램은 공개자료실에서 구할 수 있다. 한편, "소리바다(www.soribada.com)" 등의 MP3 파일 공유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다른 사람과 MP3 파일을 공유할 수도 있다.
● MP3와 저작권
저작권보호를 받고 있는 음악을 임의로 유포하는 행위는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MP3 파일과 같은 디지털 자료는 아무리 복사를 해도 원래의 음질이 저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MP3 파일의 무단 복제가 사회문제화 되기도 했는데, 좋은 음악을 지속적으로 즐기려면 원하는 음악에 대한 저작권이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는 저작권보호 및 불법복제 방지를 위해 인증된 사용자에 한해 내려받은 MP3 파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암호화된 sm3 파일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번 시험대상제품 중에 건잠머리컴퓨터, 삼성전자, 새한정보시스템 등 3개 업체 제품이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
시험을 마치고
MP3플레이어는 성능 면에서 제품간에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전반적인 음질수준은 CDP와 유사한 수준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구조 및 사용상 편리성, 부가기능은 제품별로 차이가 있어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평가 결과는 시험 제품간의 상대적인 차이를 나타낸 것인 만큼, "상대적으로 미흡"이라고 평가받은 제품이라 하더라도 그 제품이 "절대적으로 품질수준이 미흡하다"는 것은 아니며, 아울러 시험을 실시한 제품에 한해 적용된다는 점도 이해를 바란다. |
|
보 충 취 재 |
시험검사소 전기전자시험팀 팀 장 강 무 훈(☎3460-3061) |
|
선임기술원 조 경 록(☎3460-306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