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팁
#노후 소비생활 인식
#중고차거래앱
#겨울 스포츠 안전사고
소비자시대 웹진 2월호 소소한 팁에서는 초고령 사회에서의 소비 가치, 중고차거래 앱 만족도, 겨울철 스포츠 안전수칙에 대해 알아봅니다. 꼼꼼하게 읽어보고 일상에서 유용하게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글배순영 수석연구위원(정책연구실 소비자시장연구팀)
우리나라는 고령인구가 꾸준히 늘고 있는 국가입니다. 고령자의 소비생활은 길어진 노후를 살아갈 개인 소비자의 삶의 질에 직결될 뿐 아니라 국가 경제 차원에서는 민간 소비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분석이 매우 중요한데요. 한국소비자원이 55세~74세의 800명을 대상으로 노후 소비생활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들 10명 중 9명 이상이(93.0%) ‘현명한 소비’의 중요성을 상당히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사대상에게 노후생활에 필요한 분야를 9개로 구분하여 중요도를 평가한 결과, ‘현명한 소비’의 중요도는 ‘자산 관리’와 비슷하고 ‘노후 일자리’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현명한 소비란 필요도와 가격, 계약조건 등을 확인하여 나에게 적절하고 유리한 소비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노후생활에 필요한 9대 분야 중요도 | ||
---|---|---|
분야 | 중요(%) | 7점 평균 |
건강한 몸 | 96.0 | 6.48 |
마음 관리 | 95.3 | 6.38 |
가족 간 화목 | 93.5 | 6.28 |
현명한 소비(및 지출 관리) | 93.0 | 6.02 |
자산 관리(및 수입 확보) | 92.4 | 6.14 |
마음 터놓을 친구 | 91.3 | 5.94 |
취미 및 문화생활 | 87.6 | 5.69 |
노후 일자리 | 86.3 | 5.74 |
새로운 사회환경변화 적응 | 79.0 | 5.42 |
현명한 소비의 중요도 인식 |
---|
![]() |
(n=800, 단위 : %)
고령자 특성별로는 여성 고령자(93.9%)가 남성 고령자(92.2%)보다 현명한 소비의 중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였습니다. 또한 건강 및 경제 수준을 기준으로 집단을 나누어 살펴본 결과, 건강하고 경제적 여건도 되는 이른바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 집단(95.6%)이 현명한 소비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베이비부머 고령화 등 액티브 시니어는 점차 더 증가되는 추세이므로 노후생활에서 현명한 소비의 중요성도 향후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측됩니다.
건강/경제 수준별 고령자 분류 및 현명한 소비의 중요성 인식 |
---|
![]() |
경제수준 高 : (객관적) 노후 연금 월 150만 원 이상 & (주관적) 자가 진단 7점 만점에 4점 이상
건강수준 高 : (객관적) 만성질환 2개 미만 & (주관적) 자가 진단 7점 만점에 4점 이상
액티브 시니어는 남성, 70-74세 연령에서 비중이 더 높았으나, 표본 수(800명) 한계를 감안할 필요
노후의 현명한 소비가 얼마나 유용한 지 질문한 결과, 66.1%가 노후 생활비를 절감할 수 있다고 응답했는데요. 이들은 약 15% 정도의 가계비를 절감할 수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고령 1인 가구의 경우는 월 19.5만 원~27.6만 원(연 234~331만 원), 고령 부부가구의 경우 월 32.4만 원~48.5만 원(연 389~582만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근거 : (1)국민노후보장패널 최신조사(’19년), 노후 월 최소생활비는 1인 가구 117만 원, 부부가구 195만 원 (2)통계청 ‘21가계금융복지조사(’21.12.), 노후 월 최소생활비 부부가구 월 216만 원, 월 적정생활비 305 만 원 -> 종합 및 ‘21.12. 기준 환산 고령가구 월 생활비: 부부 (최소)216~(적정)305만원, 1인 (최소)130~ (적정)184만원
*계산방식 : 각 등급별 평균치에 해당 등급의 비중을 곱하여 전체 800으로 나눔
글양길호 과장(시장조사국 유통조사팀)
차량용 반도체 수급 불안으로 신차 출고가 지연되는 등 구매에 많은 불편함을 느낀 소비자들이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기존의 매매단지 중심의 중고차거래도 변화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중고차거래앱 시장 또한 더욱 활성화되고 있는데요. 한국소비자원이 중고차거래앱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등을 조사한 결과, 매물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만 이용 후기에 대한 신뢰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사대상 | 조사방법 |
---|---|
보배드림, 엔카, 첫차, KB차차차, 케이카 | ’21년 1월 이후 중고차거래앱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 1,340명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 실시 (’2022.08.31.~09.14) |
조사대상 |
---|
보배드림, 엔카, 첫차, KB차차차, 케이카 |
조사방법 |
’21년 1월 이후 중고차거래앱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 1,340명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 실시 (’2022.08.31.~09.14) |
조사대상 5개 중고차거래앱의 종합만족도는 3.57점으로, 사업자별로는 케이카가 3.68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는데요. 이어 보배드림(3.56점), KB차차차(3.55점), 첫차(3.52점), 엔카(3.49점)가 뒤를 이었습니다.
중고차거래앱 종합만족도 |
---|
![]() |
서비스 상품 요인별 만족도는 매물의 다양성, 업데이트 등과 관련한 ‘상품성(3.81점)’이 가장 높았고, ‘매물 정보(3.66점)’, ‘가격 적절성(3.59점)’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한편, 딜러에 대한 평가, 구매 후기 등과 관련한 ‘이용자후기’는 3.51점으로 모든 세부 요인 중 점수가 가장 낮았는데요. 중고차 딜러에 대한 정보 공개·평가와 함께 이용 후기의 신뢰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비스 상품 요인별 만족도 |
---|
![]() |
(단위 : 점 / 5점척도)
1)상품성 : 중고차 매물의 다양성, 매물 업데이트
2)가격적절성 : 합리적인 가격, 다양한 가격, 적합한 시세
3)매물정보 : 정보의 상세성, 매물과 정보의 일치, 기본 정보(연식, 주행거리 등) 제공, 위험요소(사고이력 등) 제공
4)거래안전성 : 검증된 매물, 검증된 판매자, 허위 매물, 판매자 신뢰, 피해 사례 예방, 보증서비스
5)이용자후기 : 구매 후기의 충분성, 딜러에 대한 평가, 이용자 후기의 신뢰성
6)문의·응대 : 문의 절차 간편성, 즉각적인 응답, 정확한 정보 회신 등
한국소비자원이 중고차거래앱 관련 소비자 피해 경험에 대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1,340명)의 17.0%(228명)가 피해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소비자 피해 유형으로는 성능·상태 점검 내용과 실제 차량 상태 상이한 것이 43.9%로 가장 많았고, 허위·미끼 매물정보가 36.4%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소비자 피해 유형(상위 5개, 다중응답) | |
---|---|
구분 | 전체 |
성능·상태 점검 내용과 실제 차량 상태 상이 | 100 (43.9) |
허위·미끼 매물 정보 | 83 (36.4) |
약속 불이행(부가상품 미지급 등) | 53 (23.2) |
판매자(딜러, 회사 등)와의 소통 어려움·지연 | 48 (21.1) |
중고차 거래앱/사이트와 소통 어려움·지연 | 45 (19.7) |
(n=228명, 단위 : 명(%))
글김지연 조사관(위해정보국 위해예방팀)
새해와 겨울을 맞이하며 겨울 스포츠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스키와 썰매를 이용하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짜릿한 스릴과 쾌감을 만끽하는 것도 좋지만 미끄러지거나 넘어져 큰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최근 3년 6개월(’19.1월~’22.6월) 동안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겨울 스포츠 관련 안전사고 1,033건을 분석한 결과, 스키(ski)가 42.8%(442건)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스노보드(snowboard) 32.5%(336건), 스케이트(skate) 16.4%(169건), 눈썰매 5.9%(61건)가 뒤를 이었습니다.
겨울 스포츠 안전사고 발생 현황 |
---|
![]() |
주요 원인별로는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89.6%(926건)로 가장 많았는데요. 이외 부딪힘 사고 5.1%(53건), 날카로운 스케이트 날에 다치는 등의 사고도 2.7%(28건)나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증상별로는 뼈와 근육, 인대를 다치는 사고가 50.5%(522건)로 가장 많았으며 뇌진탕과 타박상이 29.5%(305건), 피부와 피하조직 손상이 15.9%(164건)를 차지했습니다.
겨울 스포츠 안전사고 발생 현황 | ||
---|---|---|
원인별 | 증상별 | 상해 부위별 |
![]() |
![]() |
![]() |
겨울 스포츠 안전사고 발생 현황 |
---|
원인별 |
![]() |
증상별 |
![]() |
상해 부위별 |
![]() |
(출처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한국소비자원)
한편, 주로 다치는 부위를 살펴보면 팔과 손이 28.9%(299건)로 가장 많았는데요. 겨울 스포츠를 즐길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미끄러운 얼음과 눈 위에서도 안전하게 스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관련 주의사항을 꼭 숙지하시길 당부 드립니다.
지금 소비자시대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