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부메뉴 바로가기
정보공개
고객참여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중심경영
로그인
사이트맵
구글번역
언어 선택
한국어
독일어
말레이어
스페인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간체)
중국어(번체)
태국어
프랑스어
베트남어
필리핀어
캄보디아어
몽골어
우즈베크어
러시아어
통합검색
ENG
통합검색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닫기
소비자교육자료
생애주기별 교육자료
주제별 교육자료
교육자료 신청
교육서비스
소비자교육 안내
일반교육신청
교육신청
신청내역조회
소비자정보
카드뉴스
상품 구매·선택 가이드
KCA보고서
소비자 관련법
소비자시대
소비자24
참가격
분리배출 정보
재질별 분리배출
품목별 분리배출
분리배출 정보 앱
유관기관
유관기관
통합검색열기
메뉴열기
모바일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하기
검색닫기
정보공개
고객참여
ENG
로그인
메뉴닫기
소비자교육자료
주제별 교육자료
홈
소비자교육자료
주제별 교육자료
상세보기
글자크기조정
가
가
가
가
가
글자크기조정 닫기
소비자교육자료
생애주기별 교육자료
주제별 교육자료
교육자료 신청
주제별 교육자료
좋아요
2
[배출의 품격] 쓰레기 분리배출 편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배출의 품격] 쓰레기 분리배출 편
등록일
2021-10-04
조회수
6027
첨부파일
내용
*출처: 국가환경교육센터
자막
[배출의 품격] 슬기로운 쓰레기 배출 생활 - 쓰레기 분리배출편 - 슬기로운 쓰레기 배출생활, 배출의 품격. 쓰레기 분리배출편. 오늘도 쓰레기 버리셨나요? 우리나라는 하루에 약 45만톤, 연간 1억6천2백8십3만톤의 쓰레기를 배출합니다. 그리고 이것을 처리하는데 드는 비용은 연간 15조원 이상이죠. 이것은 서울월드컵경기장 100개를 건설할 수 있는 비용고 맞먹습니다. 최근 비대면 소비의 증가로 인해 재활용 폐기물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2020년 기준 플라스틱 폐기물은 전년도 대비 약 15%가 증가하였으며 비닐 폐기물은 약 11%, 폐지는 약 29%가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재활용 폐기물이 증가한 만큼 재활용율도 증가했을까요? 2020년도 기준 선별장의 잔재물의 양은 전년도 대비 약 15%가 상승하였습니다. 혹시 여러분들은 내가 어떻게 버려도 결국 재활용 될거야 라는 생각을 하고 계시지는 않나요? 우리가 무심코 버린 재활용품이 다시 불필요한 비용을 들여서 쓰레기로 버려집니다. 이제 우리와 지구를 위한 실천에 앞장설 때 입니다. 이것만 기억하세요. 비. 헹. 분. 석. 비운다. 헹군다. 분리한다. 섞지않는다. 비운다. 용기속 음식물과 이물질은 깨끗이 비우고. 헹군다. 이물질이 묻었을때 깨끗하게 헹구고. 분리한다. 재질이 다른것은 따로 분리하고. 섞지 않는다. 플라스틱, 비닐 등 재질별로 나누어서 배출합니다. 그런데 내용물만 봐서는 어떤 재질인지 알쏭달쏭 한것들이 있죠. 2003년부터 환경부는 국민들이 보다 쉽게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분리배출 표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어떤 재질로 분리배출 해야할 지 헷갈릴때는 바로 이 분리배출 마크를 확인하면 훨씬 쉽게 분리할 수 있는데요. 분리배출 마크를 확인하면서 분리배출하는 방법. 한번 알아볼까요? 플라스틱류. 페트병을 비롯하여 플라스틱으로 된 용기는 먼저 내부를 깨끗이 비우고 부착상표와 라벨 등 다른 재질로 된 부분을 분리한 후 가급적 압착하여 배출합니다. 비닐 류.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없앤뒤 물에 헹구고 버리면 재활용이 쉬워집니다. 여기서 잠깐!.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스티로폼과 함께 배송되는 아이스팩은 어떻게 배출해야 할까요? 환경을 고려한 아이스팩도 많이 나오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아이스팩에는 미세플라스틱이 들어있어서 더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아이스팩을 통째로 버리는 경우 비닐을 뜯지 않고 종량제 봉투에 넣어 버리고 뜯어서 버리는 경우 포장지는 비닐류 내용물은 종량제 봉투에 나누어서 배출합니다. 또한 아이스팩 수거함에 버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내 손안에 분리배출 앱을 활용하여 주변의 아이스팩 수거함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배출된 아이스팩은 재사용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유리병 류. 음료수, 쥬스, 화장품 병 등은 안에 든 이물질을 완전히 비우고 색상별로 분리하여 배출해 주세요. 거울, 도자기류, 유리로 된 식기류는 재활용 대상이 아니어서 종량제 봉투나 전용마대에 분리배출 해야 합니다. 맥주병, 소주병, 사이다병 등은 보증금을 받을 수 있는 병이어서 슈퍼나 편의점에 돌려주면 빈 병의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병 겉면에 보증금 문구를 확인해 보세요. 금속 캔류. 금속 캔류는 내용물을 비우고 플라스틱 뚜껑이 있는 경우 뚜껑을 분리하여 배출해야 합니다. 부탄가스나 살충제 용기는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구멍을 ?어 잔여 내용물을 비우고 배출해야 합니다. 종이 팩류. 우유팩은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펴서 헹군후 말립니다. 그런 뒤 일반 종이류와 섞이지 않도록 분리하여 배출해야 합니다. 분리배출을 하다보면 플라스틱의 양이 많다고 느껴지실 텐데요. 우리나라에서 연간 생산되는 페트병의 양은 무려 30톤이나 된다고 합니다. 이중 80%가 재활용 되지만 고품질 원료로 재활용 되는 것은 10% 뿐이라고 해요. 하지만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을 잘 지킨다면 모두 고품질 자원으로 쓸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유색과 투명 페트병을 잘 분리하여 배출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이죠. 비헹분석을 실천한 후 일반 페트병은 일반 플라스틱 수거함에 배출하고, 투명 페트병은 전용 수거함에 배출하면 됩니다. 2020년 12월부터 전국 공동주택 대상으로 투명 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이 시행되었으니 잊지 않고 함께 실천하면 좋겠습니다. 요즘 플라스틱 만큼 많이 배출되는 물건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1회용 마스크인데요. 한 국제 공동연구팀에 따르면 전세계 78억 인구의 월별 마스크 사용량은 1,290억개로 추산되며 이것을 한줄로 이어 붙이면 무려 지구를 483바퀴를 감을 수 있다고 합니다. 지구는 현재 코로나와 함께 쓰레기 팬데믹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특히, 아무렇게나 버린 마스크 쓰레기는 바다로 흘러가 심각한 해양 오염을 일으키고, 야생동물에게는 생존을 위협하는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지구와 환경을 위해 올바르게 잘 배출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마스크의 면이 아닌 끈을 잡고 벗어 놓은 후 끈으로 돌돌말아 버리면 됩니다. 여기서 잠깐! 감염 위험때문에 재활용 쓰레기로 배출한다거나 의류 수거함에 버리면 절대 안되니 주의해 주세요. 올바른 분리배출이 환경을 보호합니다. 오늘부터 올바른 분리배출을 하는 습관을 만들어 보는 것이 어떨까요? 쓰레기를 줄이려는 우리들의 작은 노력으로 지구 환경을 살리고 처리하는 금액도 줄일 수 있습니다. 개인의 노력이 모여 만드는 대한민국, 함께 동참해 주세요.
다음글
[배출의 품격] 음식물쓰레기 배출편
이전글
[환경육아] 우리 함께 분리배출 해볼까?(초등학교 저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