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정보
카드뉴스
카드뉴스
취업정보 서비스 만족도, ‘채용정보 유용성’ 높고, ‘부가정보 서비스’ 낮아 | |||||
---|---|---|---|---|---|
등록일 | 2017-11-20 | 조회수 | 9575 | ||
![]() 취업정보 서비스 만족도, ‘채용정보 유용성’ 높고, ‘부가정보 서비스’ 낮아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4개 취업정보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종합만족도 평균은 3.53점이었다. 조사대상은 사람인, 인크루트, 잡코리아, 커리어(가나다 순)이다. 설문조사는 조사시점 이전 6개월 이내에 조사대상 업체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성인 1,2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7월 30일부터 2017년 8월 18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했다.(업체별 각 300명) 분석개요는 5점 리커트 척도,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2.8%p, 종합만족도는 부문별 가중평균을 적용했다. 취업정보 서비스 이용자 1,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채용정보 유용성’(3.73점) 만족도는 높은 반면, ‘부가정보 서비스*’(3.45점)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정보 유용성’, ‘사이트 이용편리성 및 고객응대’, ‘정보관리 편리성’에서는 사람인이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부가정보 서비스’, ‘서비스 호감도’는 커리어가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부가정보 서비스란 회원 간 정보공유, 이력서 편집·인적성 검사 등 취업 지원에 도움이 되는 정보 서비스를 말한다. 종합만족도 평균은 5점 만점 기준 3.53점이었으며 사람인(3.57점), 커리어(3.56점)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이어 인크루트(3.54점), 잡코리아(3.45점) 순이다. 취업정보 서비스 선택 시 '채용정보 다양성'(3.14%) '채용정보 정확성'(26.4%)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며, 취업정보 서비스 선택 시 중요요소 (단위:%)는 채용정보의 다양성(31.4) 채용정보의 정확성(26.4) 채용정보 검색 편리성(16.5) 사이트 인지도(13.7) 이력서·지원 관리 편리성(8.8)입니다. 한편, 취업정보 서비스 이용 시 개선이 필요한 점으로는 ‘채용정보 등록 기업에 대한 검증체계’(43.2%), ‘연봉, 근무조건 등에 대한 평가 프로그램’(34.2%)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정보 보호 강화’도 10.0%로 나타나 소비자들이 제공하는 개인정보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요구됩니다. 취업정보 서비스 이용 시 개선이 필요한 점(단위 :%)으로는 채용정보 등록 기업에 대한 검증체계(43.2) 연봉·근무조건 등에 대한 평가 프로그램(34.2) 개인정보 보호 강화(10.0) 취업박람회,세미나 등 오프라인 행사(9.4)입니다. |
|||||
다음글 | 헬스사이클, 전 제품이 칼로리 소모량 표시가 부정확해 | ||||
이전글 | 블랙프라이데이 사기의심, 미배송 등 피해시 신용카드 차지백 서비스로 해결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