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정보
카드뉴스
카드뉴스
간편결제 만족도, ‘결제시스템’ 은 높은 반면 ‘할인혜택’은 낮아 | |||||
---|---|---|---|---|---|
등록일 | 2017-09-21 | 조회수 | 9900 | ||
![]() 간편결제 만족도, ‘결제시스템’ 은 높은 반면 ‘할인혜택’은 낮아 스마트폰 이용이 대중화되면서 간편결제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2016년도 4분기 기준 일평균 간편결제 이용건수(126만건) 및 금액(401억)은 동년 1분기 대비 각각 187%, 197% 증가(한국은행 자료 참고)하였다. 한국소비자원은 간편결제에 대한 소비자 선택정보 제공과 서비스품질 제고를 위해 시장점유율 상위 4개 업체를 대상으로 소비자 만족도를 조사했다. 조사대상은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페이코(가나다 순)다.(시장점유율 상위 4개 업체 선정) 조사시점 이전 6개월 이내에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성인 1,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2017년 6월 7일부터 2017년 6월 14일까지 진행했다.(업체별 각 300명) 분석개요는 5점 리커트 척도,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2.8%p, 종합만족도는 부문별 가중평균을 적용했다. ‘결제시스템 용이성 및 대응성’ 만족도는 높은 반면, ‘할인혜택’ 만족도는 낮았다. 간편결제 이용경험이 있는 1,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결제시스템 용이성 및 대응성’(4.14점), ‘이용절차 편리성’(3.84점) 만족도는 높은 반면, ‘개인정보 관리’(3.56점), ‘할인혜택’(3.52점)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제시스템 용이성 및 대응성’, ‘부가서비스’, ‘개인정보 관리’, ‘서비스 호감도‘에서는 삼성페이가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이용절차 편리성’, ‘할인혜택’ 만족도는 네이버페이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조사결과, 전체 종합만족도는 평균 3.75점(5점 만점)이었으며, 업체별로는 삼성페이 3.78점,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 각각 3.76점, 페이코 3.70점 순으로 나타났다. 간편결제 이용 목적(%)은 대금 결제(88.2), 송금(계좌이체)(10.4), 공과금 결제(1.4) 순으로 나타났다. 네이버페이는 대금결제(91.7), 송금(계좌이체)(7.7), 공과금 결제(0.6), 삼성페이는 대금결제(87.7), 송금(계좌이체)(10), 공과금 결제(2.3), 카카오페이는 대금결제(80), 송금(계좌이체)(18.3), 공과금 결제(1.7), 페이코는 대금결제(93.3), 송금(계좌이체)(5.7), 공과금 결제(1)로 나타났다. |
|||||
다음글 | 기능성(흡습·속건) 등산바지, 전 제품이 흡수성 매우 낮아 | ||||
이전글 | 샴푸의 세정성능 제품에 따라 차이 있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