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부메뉴 바로가기
정보공개
고객참여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중심경영
로그인
사이트맵
구글번역
언어 선택
한국어
독일어
말레이어
스페인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간체)
중국어(번체)
태국어
프랑스어
베트남어
필리핀어
캄보디아어
몽골어
우즈베크어
러시아어
통합검색
ENG
통합검색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검색닫기
소비자교육자료
생애주기별 교육자료
주제별 교육자료
교육자료 신청
교육서비스
소비자교육 안내
일반교육신청
교육신청
신청내역조회
소비자정보
카드뉴스
상품 구매·선택 가이드
KCA보고서
소비자 관련법
소비자시대
소비자24
참가격
분리배출 정보
재질별 분리배출
품목별 분리배출
분리배출 정보 앱
유관기관
유관기관
통합검색열기
메뉴열기
모바일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하기
검색닫기
정보공개
고객참여
ENG
로그인
메뉴닫기
소비자교육자료
생애주기별 교육자료
홈
소비자교육자료
생애주기별 교육자료
상세보기
글자크기조정
가
가
가
가
가
글자크기조정 닫기
소비자교육자료
생애주기별 교육자료
주제별 교육자료
교육자료 신청
생애주기별 교육자료
좋아요
15
[어르신 안전] 어르신을 위한 안전한 소비생활 가이드 - 종합편 게시글 상세보기 - 등록일, 조회수,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어르신 안전] 어르신을 위한 안전한 소비생활 가이드 - 종합편
등록일
2021-05-25
조회수
6501
첨부파일
내용
자막
침실이나 욕실 등 주 생활공간에서 매트, 양말 등 미끄럼 방지용 제품을 이용하세요. 어르신 낙상사고는 야외보다 집안에서 훨씬 많이 발생합니다. 평소에 규칙적인 균형운동, 근력운동, 유산소운동 등을 통하여 신체능력을 강화시켜야 낙상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손이 쉽게 닿는 위치에 두고, 침대 주변에 안전손잡이를 설치해 안전하게 눕고 일어납니다. 야간에 급히 화장실에 가다가 넘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취침 전 화장실에 다녀옵니다. 주택의 계단이나 현관문에는 밝은 조명을 설치합니다. 바닥에 놓인 물건에 의해 넘어질 수 있으니 수시로 정리합니다. 낙상사고 발생 시 가벼운 부상이라도 병원에서 진료를 받습니다. 의약품 복용 중 부작용을 느낀다면, 즉시 의사 또는 약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하나의 병원과 약국을 정해서 다니면, 불필요하게 많은 약물을 복용하게 되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등 불필요하게 많은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부작용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나 약사와 먼저 상의합니다. 의약품은 일반적으로 직사광선에 비치지 않고, 서늘하며 건조한 곳에 보관합니다. 처방된 의약품을 임의로 중단할 경우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의약품별 복용 시간을 눈에 띄게 표시하여 잊지 않고 복용합니다. 의약품을 사용하기 전에 사용하고자 하는 의약품이 맞는지 필히 확인합니다. 반려견 물림사고로 어린이는 얼굴을, 성인은 손을 많이 물리므로 항상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려견에게 물렸을 때는 육안으로 보는 것보다 상처가 깊을 수 있고 개의 구강 내 세균에 의한 2차 감염의 우려가 높습니다. 개는 물거나 짖는 것이 기본 습성이므로 나의 반려견도 물 수 있다는 사실과 물림사고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합니다. 낯선 개에게는 함부로 다가가거나 장난치지 않습니다. 개가 공격성을 보이는 경우 옷이나 가방 등으로 접근을 막고, 침착하게 행동합니다. 개에게 물렸을 때에는 상처부위를 씻고 출혈이 심할 경우 소독된 거즈로 압박하며,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 치료를 받습니다. 질환이 있거나 의약품을 복용 중이라면,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기 전 의사와 먼저 상담하세요. 정해진 섭취량을 지켜야 합니다. 특정 질환자 또는 의약품 복용자의 경우 의약품의 효능이 저해되거나 영양소가 결핍될 수 있으므로, 건강기능식품 섭취 전 반드시 의사 등 전문가와 상담합니다. 건강기능식품 구매 시 기능성의 표시, 섭취방법, 섭취 시 주의사항, 유통기한 등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많이 섭취한다고 해서 기능성이 더 좋아지는 것이 아니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권장량에 맞춰 섭취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건강기능식품 섭취 후 이상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섭취를 중단하고 신속히 적절한 치료를 받습니다. 지팡이나 보행보조기를 너무 낮거나 높게 하면 허리, 팔, 어깨 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바퀴가 달린 보행보조기는 평소 걸음 속도에 맞춰 사용하며 내리막이나 비탈길에서는 사용을 자제합니다. 전문의와 상담하여 자신에게 맞는 타입의 보행보조기를 선택하고 기능과 사용법에 대해 상담을 받고 사용합니다. 보행보조기의 제동장치 등 안전장치 작동법을 숙지해둡니다. 보행보조기의 높이, 각도 등을 자신에게 알맞은 정도로 설정한 뒤 사용합니다. 보행보조기 소모품의 마모, 고장 등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합니다. 상태가 호전된 경우에는 보행보조기에만 의존하지 않고 운동치료 등을 병행합니다. 설명이 잘 이해되지 않으면 가족에게 전화하세요! 65세 이상 어르신은 직원의 설명 내용을 들려주고 가족의 도움을 받아 투자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투자상품 가입 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세요! 65세 이상 어르신이 ELS, ELT 등 파생결합증권상품을 가입 시 2영업일 동안 투자여부를 다시 결정할 수 있습니다. 어르신의 신변 또는 갑작스러운 변화에 대비하고 상품 내용의 이해에 도움을 드리기 위하여 가족 등 조력자의 도움을 받아 신중히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가족과 상의 후 계약을 철회하고 싶다면 숙려기간인 2영업일 내 투자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퇴직금 등 노후자금으로 투자할 경우 자금의 성격을 고려하여 본인의 투자성향보다 안전한 금융투자상품을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병원 치료비 등 돌발 상황에 대비하여 만기가 짧고, 쉽게 환매할 수 있는 금융투자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검찰·경찰·금융기관이라며 안전계좌로 이체를 요구하면 보이스피싱 사기로 의심하세요! 메시지로 금전요구를 받았을 때는 반드시 전화로 본인확인, 사실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 때 회의나 전화기 고장 등의 이유로 전화를 피하거나 신원 확인이 불가하다면 메신저 피싱을 의심하세요! 정부기관이나 금융기관을 사칭, 범죄에 연루되었다며 금융거래 정보를 요구하거나 안전조치 등을 명목으로 자금이체를 요구하면 100% 보이스 피싱입니다! 범죄에 연루됐다는 등의 전화가 오면 일단 의심하고 상대의 신분을 파악하기 위해 전화를 끊은 뒤에 해당기관의 대표번호로 전화해 사실관계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친구, 가족 등 지인사칭 메신저 피싱 주의! 메신저를 통해 금전 요구를 받으면 섣불리 송금하지 말고 상대방을 먼저 확인하세요!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면 즉시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위해정보 신고는 소비자신고 핫라인, 소비자상담은 국번없이 1372에서 가능합니다. 어르신을 위한 안전한 소비생활 가이드 유익하셨나요? 어르신의 안전한 소비생활 한국소비자원과 NH농협은행이 함께 합니다.
다음글
[어린이 안전] 출동! 우리집 생활안전 대작전
이전글
[어르신 안전] 어르신을 위한 안전한 소비생활 가이드 - 보이스피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