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정책연구
소비자정책지표
소비생활지표
소비자정책지표
한국소비자원은 3대 소비자정책지표인 '소비생활지표', '소비자시장평가지표', '소비자역량지수'를 정책데이터로 생산하여 증거기반 정책수립(EBPM:Evidence Based Policy Making)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2015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 지표구성: ‘소비생활 여건, 소비생활 경험’의 2개 부문, 6개 영역(110개 지표)
- 표본크기: 2,575명
- 표본추출: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추출법
2017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 지표구성: ‘소비생활문제와 만족, 소비자권리와 책임, 가계소비 및 정책여건’의 3개 부문, 11개 영역(88개 지표)
- 표본크기: 5,000명
- 표본추출: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층화추출법
2019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 지표구성: ‘소비생활문제와 만족, 소비자권리와 책임, 가계소비 현황과 인식’의 3개 부문, 10개 영역(89개 지표)
- 표본크기: 8,000명
- 표본추출: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다단계층화추출법
2021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 지표구성: '소비생활 문제 경험과 만족도, 소비자권리와 책임, 가계소비 현황과 인식'의 3개 부문, 10개 영역(84개 지표)
- 표본크기: 10,000명
- 표본추출: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다단계층화추출법
2023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 지표구성: '소비생활 문제 경험과 만족도, 소비자 권리와 책임, 가계소비 현황과 인식'의 3개 부문, 10개 영역(65개 지표)
- 표본크기: 10,000명
- 표본추출: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다단계층화추출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