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콘텐츠 스크롤 시 움직이는 진행스크롤

소비이슈 팩트체크
계좌개설 간편성부터 수수료까지,
7개 증권사 앱 소비자 만족도

글 · 정고운 팀장, 황성근 차장 <시장조사국 가격조사팀>

소중한 월급을 저축에 매진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은행에 돈을 보관만 해두어도 쏠쏠하게 이자를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죠. 하지만 최근에는 이야기가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삼중고가 이어지면서 주식 투자 등 직장인들의 재테크 영역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죠. 이와 함께 증권사 앱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요.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주요 증권사 앱 7개의 서비스를 비교·분석했습니다.

콘텐츠 미리보기
  • 삼중고가 이어지면서 직장인들의 주식투자 등 재테크 영역이 확대되고 있어요.
  • 한국소비자원은 주요 증권사 앱 7개의 서비스를 비교·분석했어요.
  • 소비자 만족도 조사 결과, 종합만족도에서 ‘KB증권(M-able)’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어요.
01

증권사 앱 7개사, 서비스 비교

한국소비자원은 2025년 4월 16일부터 4월 22일까지, 월간 이용자 수(2024.12. MAU) 기준 상위 7개사의 증권사 앱 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최근 6개월 이내 증권사 모바일 앱을 통해 국내·해외주식 투자 경험이 있는 소비자 2,100명(업체별 300명)*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는데요. 한국소비자원 서비스 평가 모델(KSEQ)을 활용해 만족도를 산출하고, 증권사 앱 서비스 관련 소비자 행동·인식·태도 관련 조사를 통해 이용행태를 도출했습니다.

*

조사대상 사업자와 협의하여 할당표집

[조사대상]

KB증권
(M-able)
NH투자증권
(나무증권)
미래에셋증권
(M-STOCK)
삼성증권
(mPOP)
신한투자증권
(신한SOL)
키움증권
(영웅문S#)
한국투자증권
(한투)

[조사방법]

소비자 만족도
(서비스 이용 및 체험 만족도 등)
소비자 이용행태
(서비스 이용현황, 불만, 피해 등)
최근 1년 이내 증권사 모바일 앱 서비스를 통해 국내·해외주식 투자 경험이 있는
소비자 2,100명(업체별 300명)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진행
02

종합만족도, KB증권(M-able)이 가장 높아

7개 증권사 앱의 종합만족도는 평균 3.55점(5점 만점)으로 2021년 조사결과(3.59점) 대비 0.04점 하락한 수치를 보였습니다. 업체별로는 ‘KB증권’이 3.6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NH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이 3.61점, ‘신한투자증권’ 3.58점, ‘삼성증권’ 3.52점 등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증권사 앱 서비스 업체별 종합만족도

(단위 : 점 / 5점 만점)

한편, 서비스 이용과정에서는 안정적인 앱 작동, 정확한 주문 이행 등을 평가한 ‘앱 신뢰성’이 3.91점으로 가장 높았고, 문의사항에 대한 신속한 회신, 즉각적인 문제 해결 능력 등을 평가한 ‘고객 대응성’은 3.50점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는데요. 핵심 서비스 요인*별 만족도의 경우에는 계좌개설 방법의 간편성, 다양한 본인인증 방법 제공 등을 평가한 ‘가입·변경 편의성’이 4.19점으로 가장 높았고, ‘혜택·이벤트’는 3.54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

① 가입·변경 편의성(4.19점), ② 주식거래(4.04점), ③ 정보제공(3.83점), ④ 고객지원·상담(3.64점),
⑤ 부가서비스(3.61점), ⑥ 수수료·이자(3.57점), ⑦ 혜택·이벤트(3.54점)

[증권사 앱 핵심서비스 요인별 만족도]

(단위 : 점 / 5점 만점)

구분 수수료·이자1) 가입·변경
편의성2)
정보제공3) 주식거래4) 부가 서비스5) 혜택·이벤트6) 고객지원·상담7)
KB증권 3.64 4.20 3.89 4.10 3.75 3.72 3.76
NH투자증권 3.74 4.31 3.84 4.10 3.63 3.49 3.72
미래에셋증권 3.48 4.26 3.86 4.08 3.63 3.56 3.65
삼성증권 3.50 4.21 3.79 4.00 3.52 3.46 3.64
신한투자증권 3.58 4.18 3.90 4.06 3.66 3.56 3.69
키움증권 3.52 3.99 3.79 3.94 3.51 3.52 3.49
한국투자증권 3.53 4.18 3.76 4.03 3.57 3.49 3.55
전체 3.57 4.19 3.83 4.04 3.61 3.54 3.64
  • 1) 수수료·이자 : 주식 거래수수료의 적절성, 신용거래 융자 이자율 및 예탁금에 대한 이자율의 적절성 등을 평가
  • 2) 가입·변경 편의성 : 계좌개설 방법의 간편성, 다양한 본인인증 방법 제공, 오류 없는 신분증 인식 등을 평가
  • 3) 정보제공 : 보유종목 관련 중요정보 확인 용이성, 주식 정보검색 설정 조건의 다양화 등을 평가
  • 4) 주식거래 : 주식 주문 및 정정(취소) 용이성, 주식 주문 방식의 다양성 등을 평가
  • 5) 부가서비스 : 부가서비스 다양성 및 유용성, 차별화된 부가서비스 제공 등을 평가
  • 6) 혜택·이벤트 : 혜택·이벤트의 다양성 및 유용성, 혜택 제공의 적절성 등을 평가
  • 7) 고객지원·상담 : 상담 방법의 다양성, 고객지원 서비스 이용 절차의 간편성, 상담 전화 연결의 용이성 등을 평가
03

증권사 앱 선택요인

소비자들이 증권사 앱을 선택할 때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앱 편의성 및 디자인’(31.4%), ‘거래수수료’(31.4%)가 높았고, 다음으로 ‘거래 속도 및 안전성’(13.3%), ‘다양한 투자상품 및 부가서비스’(7.9%) ‘고객서비스 품질’(5.3%)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한편, 증권사 앱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국내주식만 투자하는 비율’이 전체 응답자의 48.7%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증권사 앱 선택 시 중요 고려 요소]

(단위 : 명, %)

[이용자 주식투자 대상]

(단위 : 명, %)

04

소비자 불만, 피해 경험

증권사 앱을 이용하면서 불만이나 피해를 경험한 소비자는 전체의 59.0%로, 지난 2021년 조사(52.2%)보다 6.8%p 가량 증가했는데요. 주요 불만·피해 유형은 ‘시스템 오류 및 접속 장애’가 50.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앱 로그인 및 인증 문제’(48.6%), ‘높은 수수료 및 숨겨진 비용’(35.4%)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 불만·피해 유형(다중응답)]

(N=1,240명, 단위 : 명, %)

구분 불만·피해 경험
응답자 수 비율
시스템 오류 및 접속 장애 630 50.8
앱 로그인 및 인증 문제 603 48.6
높은 수수료 및 숨겨진 비용 439 35.4
해외 주식거래 관련 불편 356 28.7
이벤트 및 혜택 관련 문제 347 28.0
고객지원 및 상담 응대 불만 303 24.4
반대매매 강제 청산 191 15.4
허위 또는 부정확한 투자정보 제공 187 15.1
개인정보 및 보안 문제 175 14.1
과도한 신용거래 권유 158 12.8
자동투자 및 로보어드바이저 문제 154 12.4
3,543 285.7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사업자에게 ▲ 거래 장애 발생 시 실시간 안내 강화 및 보상 신속화 ▲ 수수료 및 이자율 정보제공 강화 ▲ 이벤트 및 부가 혜택 다양화 등의 서비스 개선을 요청할 계획입니다. 앞으로도 소비자의 합리적인 선택을 돕기 위해 여러 서비스 분야의 비교정보를 지속해서 생산하고, 사업자의 서비스 개선 활동에도 도움이 되도록 맞춤형 정보를 제공드릴 예정이오니 소비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구독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