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월간소비

가정의 달 5월
알아두면 좋은 소비뉴스

NEWS 01

레토 듀얼 클린 미니 가습기,
자발적 리콜 실시

(주)레토지엠에스에서 판매한 ‘듀얼 클린 미니 가습기 제품’이 3월 15일부터 환불 등 자발적 리콜을 진행합니다. 한국소비자원은 해당 가습기 상단 조작부에 녹이 발생한다는 위해정보를 입수해, 제품조사를 실시했는데요. 조사결과, 제품 상단부의 방수 처리가 미흡해 조작부가 물과 수분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녹이 발생해 정상적인 작동이 어려운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에 해당 업체와 조치방안을 협의하여 2023년 11월 17일부터 2024년 2월 13일까지 판매한 전 제품에 대해 환불 또는 부품 교체를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상단부에 녹이 생겼거나 하단부에 최대용량 표시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을 보유한 소비자는 사용을 중지하고 (주)레토지엠에스 고객 상담실 혹은 누리집으로 연락해 신속히 조치 받으시길 바랍니다.

[리콜 대상 제품]

[리콜 관련 문의]

고객상담실 누리집
070-7812-2480 http://leto.co.kr
고객상담실
070-7812-2480
누리집
http://leto.co.kr
NEWS 02

온라인쇼핑몰 만족도,
‘주문·배송 과정’ 높고, ‘상품’ 낮아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빨라지면서 온라인쇼핑몰 이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온라인쇼핑 동향 조사에 따르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2018년 114조 원에서 2023년 227조 원으로 5년 사이 2배 가까이 늘었는데요.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국내 주요 온라인쇼핑몰(5개사)의 소비자 만족도와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종합만족도는 업체별 최저 3.71점에서 최고 3.83점으로, ‘쿠팡’이 5개 업체 중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서비스 상품 부문의 경우 구매 간편성 및 결제의 다양성, 배송과정 등을 평가하는 ‘주문·배송과정’ 요인이 4.21점으로 가장 높았고, 차별화된 상품 제공 및 상품 품질 등을 평가하는 ‘상품’ 요인이 3.66점으로 가장 낮았습니다.

[조사개요]

조사대상 ‘2022년 기준 국내 온라인쇼핑 시장점유율 상위 5개사’
조사방법

최근 3개월 이내 온라인쇼핑몰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전국 거주 소비자
1,500명(업체별 300명)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2023. 9. 21. ~ 10. 6.)

[온라인쇼핑몰 종합만족도]

[서비스 요인별 만족도 분석결과]

(단위 : 점/5점 척도)

NEWS 03

일부 생활화학제품,
무독성·무해 등 금지 표현 표시

욕실세정제(락스), 차량용 워셔액, 캡슐 세제 등 생활화학제품. 일상에서 오남용으로 인해 위해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생활화학제품 50개의 어린이보호포장과 표시·광고 실태를 조사했습니다.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화학제품안전법’)에서는 표시·광고에 사람이나 동물의 건강과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거나 적은 것으로 오해할 수 있는 ‘무독성’, ‘환경·자연친화적’, ‘무해성’, ‘인체·동물친화적’ 등의 문구 또는 이와 유사한 표현*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요. 조사대상 50개 중 14개 제품의 포장 또는 온라인 광고에 화학제품안전법에서 금지하는 문구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

독성 없음(Non-Toxic), 천연, 그린, 에코, 순수(Pure), 인체에 영향이 없는, 착한, 웰빙, 사람을 생각 등

한편 유럽연합은 삼키거나 흡입 시 독성이 있는 특정 화학물질이 포함된 제품에 대하여 시각장애인 경고용 촉각표시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어린이의 삼킴사고 예방을 위해 캡슐형 세탁세제의 내용물이 보이지 않게 외부 포장에 불투명한 재질을 사용하도록 관리하고 있는데요. 조사대상 중 유럽연합에서 규정한 특정 화학물질 포함 27개 제품 중 25개는 위험 경고용 촉각표시가 없고, 캡슐형 세탁세제 17개 제품 중 5개는 외부 포장이 투명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취약계층의 안전 확보를 위해 이번 조사 결과를 사업자정례협의체*에 공유해 사업자가 선제적으로 위험 경고용 촉각표시를 도입하고 캡슐형 세탁세제의 외부 포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

한국소비자원과 생활가정용품, 위생용품, 화장품, 유통 등 13개 분야 총 146개 기업이 산업별 소비자의 안전 이슈에 선제적으로 공동 대응하고 위해 저감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위해 출범

[건강·환경성 오인 문구·표현 표시·광고 사례]

무독성 환경·자연친화적 무해성 인체·동물친화적
무독성
환경·자연친화적
무해성
인체·동물친화적
생활화학제품 구매·사용가이드
  •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인 경우 안전기준확인 마크신고번호를 확인합니다.

  • 초록누리*에서 생활화학제품의 안전정보를 확인하고 함유된 화학물질에 대한 자세한 유해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ecolife.me.go.kr

  • 제품에 표시된 주의사항에 따라 용도에 맞게 정량을 사용하며 밀폐된 환경에서 사용을 자제하고 사용 후 충분히 환기해주세요.

  • 삼키거나 눈에 들어간 경우, 입에 남아 있는 것을 제거하고 눈을 비비자 말고 즉시 물로 씻은 후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 받습니다.

NEWS 04

봄나들이 때
유모차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완연한 봄 날씨가 이어지면서 야외로 나들이 가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유모차 관련 안전사고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요. 최근 5년간(2019년~2023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유모차 사고 사례는 총 1,206건으로 안전사고 사례를 분석한 결과, 유모차에 탑승 중인 아이가 떨어지는 등 추락이 66.2%(798건)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또한 손잡이와 접히는 부분 등 유모차의 틈 사이에 보호자나 아이의 신체가 끼여 피부가 찢어지는 것 같은 늘림·끼임 사고는 3.4%(41건)을 차지했는데요. 특히 다친 부위로는 머리·얼굴이 69.7%(841건)로 가장 많았습니다. 봄철에 영유아와 함께 나들이 가는 가족들은 유모차 사용 시 각별히 주의하시기를 당부드립니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9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7개 위해정보 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연도별 유모차 위해 현황]

(단위 : 건)

구분 2019년 2020년 2020년 2022년 2023년 합계
위해사고(건) 267 152 258 242 287 1,206
구분 위해사고(건)
2019년 267
2020년 152
2020년 258
2022년 242
2023년 287
합계 1,206

위해 원인별, 위해 부위별 유모차 위해 발생 현황 값은 2019년 ~ 2023년 발생건수 합계를 비율(%)로 환산하여 도출한 값임

유모차 사용 시 주의사항
  • 유모차 사용 연령과 사용 제한 무게를 확인하세요.

  • 유모차를 펴고 접을 때, 유모차 틈새에 손가락 등이 끼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유모차에 너무 많은 짐을 싣거나 손잡이·유모차 측면에 물건을 매달지 마세요.

  • 영·유아 승차 시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시키고 몸에 맞게 조여주세요.

  • 유모차에 영유아를 태운 채 혼자 있도록 하지 마세요.

  • 유모차를 잠시 정차시키는 경우 브레이크를 잠그고, 항상 손잡이를 잡고 있습니다.

NEWS 05

한국소비자원,
고등학교 소비자교육 표준교재 발간

급변하는 디지털 소비환경 속에서 청소년이 소비활동의 중요한 주체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청소년 소비자교육 수요에 부응하고 학교를 통한 양질의 소비자교육을 제공하고자 고등학생용 교육 콘텐츠 개발에 착수, 국내 최초로 ‘고등학교 소비자교육 표준교재’를 발간했습니다.

이번 교재는 최신 ‘학교소비자교육 표준안(2021)’이 제시한 교육과정 성취 기준을 반영해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됐는데요. 교사용 지도서와 학생용 워크북 외에도 시각화자료(PPT, 웹툰, 동영상 등), 메타버스 게임 등 디지털 학습자료를 추가했습니다.

해당 자료는 ▲교육부 에듀넷 티클리어(www.edunet.net),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24(www.consumer.go.kr), ▲한국소비자원 누리집(www.kca.go.kr), 스마트컨슈머(www.kca.go.kr/smartconsumer), 한국소비자원TV 유튜브(www.youtube.com/kcayoutube)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소비자교육 표준교재]

[메타버스 게임]

소비자문제 해결을 위한 절차 이해하기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지금 소비자시대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