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좋은 소비뉴스
- 정수기 렌탈 서비스 계약 시 해지비용이 있는지 미리 확인이 필요해요.
-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체인형 체육시설업의 계약서 약관 실태조사를 실시했어요.
- 만기 시 전액 환급 약정한 상조 결합상품, 가입하실 때 주의하세요.
정수기 렌탈 계약 시
해지비용 꼭 확인하세요
정수기 렌탈 서비스는 유지와 관리가 쉬워 많은 분들이 이용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중도 해지 시 예상치 못한 비용으로 인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약 3년간(2022년~2025년 3월)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정수기 렌탈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1,462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유의가 필요합니다.
[피해구제 신청(계약 관련) 이유]
(단위 : 건,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1분기) | 계 |
---|---|---|---|---|---|
계약 관련 | 209 | 217 | 315 | 82 | 823(100.0) |
계약해지·위약금 | 129 | 141 | 182 | 51 | 503(61.1) |
계약불이행 | 75 | 70 | 108 | 24 | 277(33.7) |
기타* | 5 | 6 | 25 | 7 | 43(5.2) |
(기타) 무능력자계약, 청약철회
피해구제 신청 이유를 자세히 살펴보면 계약 관련 불만이 56.3%(823건)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는데요. 이 중 계약해지 및 위약금이 61.1%(503건), 관리점검 미이행 등 계약불이행이 33.7%(277건)을 차지했습니다. 특히 소비자들은 의무사용기간이 지나면 위약금 등 부담 비용이 없을 거라 예상하지만, 실제로 위약금만 제외되고 할인받은 렌탈료, 등록비, 철거비 등이 청구되는 경우가 있었는데요. 이에 정수기 렌탈 계약 시 렌탈기간·의무사용기간을 확인하시고, 계약을 중도 해지할 경우 별도로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있는지 사전에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체인형 체육시설업 20개,
계약서 약관 실태조사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헬스장·필라테스·요가 등 체육시설업을 이용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하지만 2022년 1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소비자 피해구제로 접수된 사건은 13,807건에 이르며, 관련 소비자 불만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피해구제 접수가 많은 전국 체인형 체육시설업 20개의 계약서를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사업장에서 소비자의 계약해지를 제한하는 등 소비자에게 불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체인형 체육시설업 약관 검토 결과]
구분 | 계약해지 | 사업자의 법적 책임 면제 | 기타 |
---|---|---|---|
사업자 수 (비율) |
14개(70%) | 18개(90%) | 12개(60%) |
세부 유형 |
|
|
|
특히 조사대상 사업자 18개(90%)는 사업자의 법적인 관리 책임을 회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물품의 분실, 이용자의 부상, 회원 간 분쟁 발생 등과 관련해 책임을 이용자에게 전가하고 있었습니다. 이외 회원권의 양도를 제한하거나 분쟁 발생에 따른 소송 진행 시 관할 법원을 사업자 소재지로 제한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는데요. 한국소비자원은 이를 공정거래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와 공유해 체육시설업 관련 소비자 피해를 막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소비자들은 체육시설업 계약 체결 시 주의사항을 확인 후 관련 피해를 예방하시길 바랍니다.


상조 결합상품 가입 시
대금 분쟁에 유의하세요
상조 서비스에 가전제품이나 전자기기 등을 결합한 상조 결합상품. 한국소비자원이 27개의 상조결합상품을 조사한 결과, 96.3%(26개)가 만기 시 결합상품의 구매대금까지 환급을 약정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그러나 이들 상품을 판매한 24개 업체 중 65.2%(15개)가 자본잠식 상태로 확인되는 등 재무구조가 취약하여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상조 결합상품관련 피해구제 접수 건수는 총 162건, 최근 3년간(2022년~2024년) 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연도별 접수 현황]
(단위 : 건)

‘상조 서비스’ 품목으로 조회되는 사건 중 ‘상조 결합상품’ 관련 내용의 사건으로 집계
[피해 유형별 접수 현황]
(단위 : 건)

일반적으로 상조 서비스 피해 사례가 50대 이상에서 발생하는 것과 달리 상조 결합상품 피해는 청년층(20대~30대)에서 가장 많았는데요. 이는 최근 결합상품 중 청년층을 겨냥한 노트북, 스마트워치 등 기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이에 청년층을 포함한 소비자들은 상조 결합상품 가입 시 계약의 납입 기간 및 대금, 환급 기준 등 주요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가입 후에도 업체의 영업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대상 사업자에게 과도한 만기환급금 지급을 약정하는 행위를 자제하고, 계약서 작성 시 계약 조건을 명확히 구분하게 하는 등 개선을 요청할 예정입니다.

